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2915.jpg
KCI등재 학술저널

인천광역시 고령자의 보건의료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의료패널자료를 이용하여

  • 405

본 연구는 한국의료패널을 통해 인천광역시 고령자의 보건의료이용 행태 예측요인을 확인하여 고령자의 보건의료접근성을높이거나 보건의료이용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서비스 또는 제도를 개발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국의료패널 중 인천광역시에 거주하는 60세 이상 대상자 총 305개의 자료를 SPSS와 AMO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개인속성과 건강수준, 건강수준과 보건의료이용행태에서 유의미한 상관이 나타났다. 또한, 구축된 연구모형의 적합도 및 효과 분석을통해 개인속성 요인, 생활습관, 건강수준이 모두 보건의료서비스 이용에 직 간접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 이를 통해 인천시가 다른 지역들에 비해 보건의료서비스 수요 및 공급에서 불균형이 심한 편이므로 고령화 사회에 맞춰 인천시의보건의료체계 정립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으며, 인천시 거주 고령자에게 제공할 보건의료서비스의 방안과 관련 정책 제도 수립 시본 연구 결과를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pare basic data necessary for the development of services or systems that can enhance the accessibility of health and medical services or enhance the efficiency of health and medical use of senior citizens by identifying factors for predicting health and medical use behavior of senior citizens in Incheon Metropolitan City through the Korea health panel data(version 1.5). Through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established through the SPSS and AMOS, it was confirmed that the predisposing factors, health behaviors and needs factors had significant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n the use of health care services. Since the imbalance in demand and supply of health and medical services is more severe than in other reg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when checking whether the current health and medical system in Incheon Metropolitan City can operate effectively in an aged society and discussing how to provide health and medical services to the elderly in Incheon.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