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웃교육 관점에서 통합교육의 의미 재성찰
A Review of the Meaning Inclusive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Community Awareness Education
- 정은(Cheong, Eun)
- 한국장애학회
- 한국장애학회지
- 제5권 제1호
- 등재여부 : KCI등재후보
- 2020.06
- 11 - 33 (23 pages)
본 연구는 진화심리학 연구에 기초한 이웃교육의 관점에서 장애인교육학의 중심 주제라고 할 수 있는 통합교육의 의미를 재성찰한 것이다. 연구결과, 통합교육은 통합의 전체성 차원에서 봤을 때 장애학생-비장애학생 공동교육의 의미를 넘어 학교를 중심으로 한 다양한 학생들의 공동생활으로 이해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사람이 다 다르고 학습자 또한 언제나 개인차를 가진다는 점을 고려했을 때 모든 교육이 실제로는 통합교육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장애학생의 완전한 통합교육 요구는 기존 교육에 대한 추가적 요구가 아니라, 삶으로서 교육의 원래 모습을 회복해 나가는 일이라고 볼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또한 통합교육을 신경심리학적 차원에서 살펴보았는데, 이를 통해 인간의 뇌에는 사람 얼굴을 지각하는 전담 영역이 존재하며, 얼굴 지각은 다른 어떤 형태적 표상보다 더 많은 공간을 차지하는 쪽으로 진화해 왔음을 알 수 있었다. 아울러 인간의 뇌는 낯선 대상을 알아가고 사귀어 나갈 수 있는 충분한 유연성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우리가 서로 직접 만나 눈 맞춤하는 것 자체가 다양한 사람들이 공존해 나가기 위한 필수적인 과정임을 인식하고, 이러한 인간의 진화적 역량에 기초하여 보다 근본적인 차원에서 통합교육 실천을 위해 힘써야 할 것이다.
This study reviews the meaning of inclusive education, which is the major theme of disability studies for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community awareness education based on evolutionary psychological research. As a result, the study found that inclusive education needs to be understood as common life of various students centering on school, going beyond the meaning of common education for students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in terms of the entirety of integration. In addition, considering that each student is different and each student has individual differences, this study revealed that all types of education are actually inclusive. Therefore, a demand to complete inclusive education from students with disabilities is not an additional demand for the existing education; it is rather restoring the original form of education as life. This study also investigated inclusive education from the neuropsychological viewpoint, which found that the human brain has an area dedicated for recognizing faces and that face recognition has evolved to take up more space than any other morphological representation. Additionally, it was also revealed that the human brain is flexible enough, so people can get to know and build relationships with strangers. Therefore, it is required to realize that meeting others in person and making eye contact itself is an essential process for a variety of people to coexist with each other and make efforts to practice inclusive education at a more fundamental level based on such evolutionary capabilities of humans.
1. 들어가는 글
2. 이웃교육과 통합교육
3. 통합교육의 신경심리
4. 나가는 글 : ‘사례’에서 ‘사귐’으로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