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학생 운전자의 운전 중 전자기기 사용 유형에 따른 차량 통제에서의 차이
Effects of Electronic Devices Use on Young Driver s Driving Performance
- 이세원(Sewon Lee) 김비아(Bia Kim) 배정은(Jeong-Eun Bae) 주미정(Mijung Joo) 이재식(Jaesik Lee)
- 한국자료분석학회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
- Vol.10 No.6
- 등재여부 : KCI등재
- 2008.12
- 3133 - 3144 (12 pages)
본 연구는 운전면허를 소지한 대학생 1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대표적인 전자기기(차량 네비게이션 시스템과 휴대전화) 사용 유형을 추출한 후(사전연구), 이를 토대로 운전 시뮬레이션 상황에서 운전자의 차량 통제(차량의 종적통제와 횡적통제)가 대표적 전자기기 사용 유형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 비교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설문 조사결과, 차량 네비게이션 시스템 사용의 경우 항행-관련 과제에서는 목적지 탐색과 주변 검색이, TV 시청과 관련해서는 TV시청 자체와 채널검색이, 그리고 휴대전화 사용의 경우 문자송수신과 통화에 대한 응답이 상대적으로 더 많았다. 이러한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운전 시뮬레이션을 통해 전자기기 사용 유형 각각의 조건에서 운전 수행을 비교하였는데, 네비게이션 시스템을 사용하는 경우 목적지를 탐색하는 과제와 휴대전화를 사용하는 경우 문자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제가 일반적으로 더 저하된 운전 수행을 가져오는 것이 관찰되었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relative effects of in-vehicle electronic device use on drivers driving performance.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administrated to find most representative types of the device usage, and driver s driving performances were compared in the normal driving condition. The results showed as followings; First, among various purposes of electronic device use in-car, destination setting and point-of-interest search in navigation-related tasks, TV watching itself and channel search in DMB TV use tasks, and text sending and receiving, and conversation in cellular phone use were reported as more frequent purpose of electronic device use. Second, menu selection task for destination in the navigation usage context and sending messages in the cellular phone usage context induced more impaired driving performance than the other tasks.
1. 연구배경 및 연구목적
2. 운전 중 전자기기 사용 유형에 대한 설문조사 연구
3. 실험 연구: 운전과제 수행에 대한 전자기기 사용유형의 차별적 효과
4. 논의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