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의 교육수준과 자녀의 학력 및 노동시장 성과 간의 관계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the Types of College Admissions on the Relations of Parental Education Level on Children s Levels of Education and Their Labor Market Outcome
-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 교육문제연구
- 敎育問題硏究 第75輯
-
2020.05105 - 128 (24 pages)
-
DOI : 10.24299/kier.2020.33.2.105
- 841

본 연구는 부모의 교육수준이 자녀의 최종 학력과 관련이 있는지 알아보고, 나아가 대학입학전형이 부모의 교육수준과 자녀 학력 사이의 관계에서 어떠한 작용을 하는지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을 위해서 한국교육고용패널(KEEP) 1차년도~12차년도의 고등학교 3학년 및 중학교 3학년 코호트 자료가 이용되었으며, 연구방법으로는 코호트 고정효과모형, 학교 고정효과모형, 경향점수매칭법이 적용되었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개인과 가구 특성, 대학과 직장 관련 특성을 통제더라도 부모의 교육 연한과 자녀의 학력 간에는 정적 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의 교육수준 효과가 자녀의 노동시장 성과까지 연결되는지를 살펴본 추가 분석에서는 부모의 교육 수준이 높을수록 자녀의 월평균 수준이 역시 높은 경향을 보였다. 하지만 부모의 교육수준이 높은 수시 합격자와 부모 교육 수준이 동일한 정시 합격자를 비교했을 때, 최종 학력과 월평균 임금에 있어서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즉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수시 전형이 정시 전형에 비해 교육 대물림 및 자녀의 노동시장 성과에 미치는 부모 교육수준의 역할을 더 강화시키는 것은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parents levels of education are associated with the education levels of their children and also to investigates how the college admission process affects the relationship. By using the KEEP(Korean Education & Employment Panel) data, collected by KRIVET(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both ordinary least square and ordered logistic regression were applied.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as follows: Even after controlling for individual, household, college-related and job-related characteristics, parents levels of education have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educational levels of their children. Also, early decision and parents levels of education do not have an interaction effect on students levels of education. In addition, parents levels of education a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ir children s monthly wage in the labor market.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between parents levels of education and early decision on their children s future wage.
Ⅰ. 서 론
Ⅱ. 선행연구 분석
Ⅲ. 연구방법
Ⅳ. 분석 결과 및 해석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