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2994.jpg
학술저널

융합교육전문가 양성을 위한 융합교육과정 개선방안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for the promotion of convergence education professionals

  • 1,428

이 연구는 교원양성대학인 한국교원대학교 일반대학원 융합교육전공생들을 대상으로 융합교육 수업적용 사례를 분석하고 융합교육전문가 양성을 위한 융합교육과정 개선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은 내러티브 탐구방법을 활용하였으며, 한국교원대학교 일반대학원 융합교육전공자 3명을 대상으로 2019년 9월부터 11월까지 3차례에 걸쳐 90분간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면담을 위해 사전조사지 문항을 개발하였으며 문항은 단답형이 아닌 개방형 문항으로 만들었다. 면담내용은 현장노트와 참여자와 나눈 문자, 전화, 면담내용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융합교육전공자들은 기존교육의 한계를 해결하고자 융합교육전공에 입학하였으며, 공통적으로 진로코칭 및 교육회사를 운영하고 있었다. 둘째, 융합교육은 주로 중학생을 대상으로 자유학기제, 자유학년제, 진로특강 등으로 적용하였고 자신과의 소통, 1:1맞춤형 교육, 사고확장 등으로 진행되었다. 셋째, 융합교육 수업의 문제점은 단발성 수업으로 인한 수업시간 부족, 프로그램 효과성 분석 시스템 부족, 수준별 교육을 위한 수업방식의 어려움 등이다. 넷째, 융합교육전문가들은 유튜브, 책, 연구물, 외부활동 등을 통해 스스로 개인적 역량을 기르고 있었으며, 교사 이외의 교육전문가들을 위한 교육은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다. 연구결과에 대한 제언으로 첫째, 효과적인 융합교육프로그램 기획 및 실행과정 제안, 둘째, 융합교육프로그램에 대한 평가기준 마련, 셋째, 다양한 지원 및 외부활동 기회 제공, 넷째, 협업·소통의 장 마련이다.

This study utilized the narratives of Clandinin and Connelly (2000) and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for 90 minutes on three occasions from September to November 2019. Item and the development of a preliminary study for the interview questions is not criticised A-levels which made an open question. The meeting participants and field notes with text messages, phone, was analyzed centering on the details of his interview.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nvergence education majors entered the convergence education major in order to solve the limitations of existing education and were operating career coaching and education companies in common in the education sector. Second, in the application method of convergence education, the free semester system, free grade system, special courses for middle school students were provided, and the education method was to communicate with oneself, 1:1 education, and activities to break the framework of thinking. Third, in the problems and requirements of the convergence education class, they wanted to check their effectiveness or evaluation of their classes, such as the lack of class time due to the single class, the lack of the program effectiveness analysis system, and the difficulty of the class method for level education. Fourth, in the core competency of convergence education experts, it was found that they were developing their own personal capabilities through YouTube, books, research materials, and outside activities, and that education for education experts other than teachers was not being conducted. Four suggestions were made for this. First, proposed effective integrated education program planning and implementation process, second, prepared evaluation criteria for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s, third, providing diverse support and opportunities for outside activities, and fourth, preparing a venue for collaboration and communication.

Ⅰ. 서론

Ⅱ. 본론

Ⅲ. 연구 방법

Ⅳ. 연구결과 및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