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2992.jpg
KCI등재 학술저널

일제 식민지기 예비학교의 설립과 운영에 관한 시론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Preparatory Schools Korea under Japanese Rule

  • 147

본 연구는 일제 식민지기 예비학교의 설립 배경과 현황, 운영상의 특징을 분석하고 고등보통학교·중학교 보습과와의 관계를 고찰함으로써 예비학교의 교육사적 의의를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본의 예비교는 식민지 조선의 예비학교의 설립과 운영에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인다. 둘째 예비학교의 설립은 3.1운동 이후 고등보통학교 졸업자 수의 증가와 조선총독부의 관립전문학교증설억제정책에 의해 초래된 고등교육기관의 입학경쟁의 격화와 이에 따른 ‘정규의 학교제도’ 밖에서의 ‘준비교육’에 대한 수요 증가라는 배경 하에서 이루어졌다. 셋째 일제 식민지에는 적어도 15교의 예비학교가 설립됐다. 설립자별로 보면 사실상 조선인 설립의 예비학교 11교, 일본인 설립의 예비학교 3교, 미상 1교였다. 이중 조선인 설립의 예비학교는 설립자나 강사가 대체로 사립의 고등보통학교, 각종학교, 사설학술강습소 관계자 출신이었으나 일본인 설립의 예비학교는 설립자나 강사가 중등학교 교원와 함께 일부 고등교육기관 교원도 참여하고 있었다. 넷째 예비학교는 다음과 같은 운영상의 특징을 갖고 있었다. 수업연한은 대체로 1년 이하였으며 교육과정은 영어·수학 중심이었다. 재학자는 재수생과 함께 고등보통학교와 ‘지정학교’ 재학자 등을 아울렀을 것으로 보인다. 일부 예비학교는 모의시험을 실시하거나 강습회를 개최하고 교재를 저술·출판했으며 수업료가 고등보통학교 본과의 수업료보다 고액이었다. 대부분의 예비학교는 존속기간이 짧았으며 ‘준비교육’ 이외의 다양한 과정을 설치했다. 다섯째 1934년에 보습과의 출현은 예비교에 대한 수요를 일정 정도 흡수했다. 동년에 경성고등예비학교의 입학지원자 수는 급감했다. 이는 보습과가 경성고등예비학교와 경합관계에 있었다는 점을 방증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를 보면 일제 식민지기에 예비학교는 고등교육기관의 입학경쟁의 격화와 이에 따른 ‘준비교육’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는 상황에서 ‘재수생’, 고등보통학교와 ‘지정학교’ 재학자, ‘전검’ 합격자 등에게 ‘준비교육’을 제공하는 교육기관이었다는 점에서 교육사적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preparatory schools in Korea under Japanese rul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preparatory schools in japan influenced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preparatory schools in Korea under Japanese rule. Secondly, After the March 1st Movement, the educational enthusiasm of Koreans and fierce competition to enter university and junior colleges influenced the establishment of preparatory schools. Thirdly, There were at least 15 preparatory schools in colonial Korea. eleven of them was established by Korean, three of them was established by Japanese. The founders and teachers of the former were mostly from private schools. Fourthly, preparatory schools had one year or less diploma course, taught English and mathematics, selected secondary schools students and graduates. Some preparatory schools charged high school fees, carried out Mock tests, held summer or winter courses, published textbooks. And most preparatory schools had various courses, but did not last long. Fifthly, supplementary courses absorbed the demand for preparatory schools. This shows that supplementary courses was in competition with the preparatory schools.

Ⅰ. 들어가며

Ⅱ. 근대 일본의 예비교

Ⅲ. 입학경쟁의 격화와 ‘준비교육’에 대한 수요 증가

Ⅳ. 예비학교의 설립자와 설립시기, 설립지역

Ⅴ. 예비학교의 운영상의 특징

Ⅵ. 보습과의 출현과 예비학교와의 관계

Ⅶ. 나가며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