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동주택단지에 있어서 주거환경이 조망권에 미치는 영향분석
An Impact on View Area to Residential Environment in Apartment Housing
- 김형보(Hyung-bo Kim) 윤상복(Sang-bok Yoon)
- 한국자료분석학회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
- Vol.10 No.3
- 등재여부 : KCI등재
- 2008.06
- 1769 - 1780 (12 pages)
최근 들어 좋은 조망을 지닌 쾌적한 주거환경에 대한 선호도가 점차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고, 동일지역에 위치한 주택이라도 우수한 경관을 지닌 곳은 주택가격이 높은, 이른바 조망프리미엄 수혜지역으로 각광받고 있다. 현재의 조망은 자연경관과 인공경관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공동주택 건립시 향과 더불어 조망을 고려한 단지계획이 늘어나는 추세이다.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재 부산에 거주하는 공동주택 거주민이 향후 공동주택단지 구입시 선호하는 주거환경을 파악하고, 그에 따른 만족도와 선호도 조사를 통하여 조망이 주거환경에서 얼마나 중요한 요소인지에 대하여 규명하였다. 분석방법으로 유형별 조망경관을 기준으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직접면접조사방식을 사용하여 실질적인 거주민의 의식을 통하여 향후 공동주택단지를 건설하고자 할 경우 입지적 여건을 대입하여 분석할 경우 상당히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As the value of view of apartments becomes significant, Korea is also considering view to be important. Thus intangible resources such as view is judged by environmental agreeableness and economic value. Recently, preferences for pleasant living environment becomes increasingly important and even houses in same locations differ in its prices by its views or the so called view premium .Modern views are divided into natural view and manmade views and more construction plans considering these factors are increasing.Thus, this research has grasped the Busan residents preference for views when purchasing houses and tried to find out what is an important factor in living space through satisfaction level. Research has been carried out on different views with one on one interview with residents to find out a solution to refer for apartment construction
1. 서론
2. 이론적 고찰
3. 조망경관에 대한 만족도・선호도 분석
4.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