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식통계자료의 상용화 문제
Usage of Official Statistics into Business Area and Related Topics
- 한국자료분석학회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
- Vol.10 No.3
- : KCI등재
- 2008.06
- 1459 - 1470 (12 pages)
오늘날 기업들은 자체적인 또한 외부의 다량의 데이터에 접근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러한 데이터 정보가 서로 다른 데이터 아카이브 시스템에 흩어져 있기 때문에 자료 이용면에서 비효율성이 나타나고 있다. 이에 최근 기업에서는 마케팅 의사결정을 위한 정보원을 확보함에 있어서 고객 거래데이터에 레퍼런스 데이터를 결합 보완함으로써 데이터의 정보력을 높이거나 새로운 정보를 창출해 내려는 노력을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다. 이러한 레퍼런스 데이터에서 공식통계의 비중은 점차 높아가고 있다.본 연구에서는 기업의 마케팅 전략수립 과정에서 상업적인 목적으로 공식통계가 이용되는 측면을 공식통계의 상용화라고 지칭하고, 이와 관련된 국내외 연구동향을 살펴보고, 이를 둘러싸고 있는 문제점과 그 개선안을 연구한다.
Nowadays each individual business industry can access a large quantity of data and information about itself and its environment. But there are some problems. Information is scattered within different archive systems that are not connected with one another. So, business industry try to obtain information for building a marketing strategy in the sense of data fusion of reference data. The importance of usage of official statistics as reference data is getting more and more emphasized in analytical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CRM) of customer centric business industry. In this work, we investigate into the usage of official statistics into business area and related topics. And some recommendations are suggested.
1. 연구 배경
2. I-VAN에 의한 민간 기업의 공식통계 상용화 필요성
3. 마이크로 타겟의 구축과 그 활용
4. Census DBM 서비스와 활용분야
5. 공식통계 활용의 한계와 개선책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