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2989.jpg
KCI등재 학술저널

생활시간 소비형태에 따른 피로도와의 연관성 분석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ime Use and Fatigue Condition

  • 21

통계청은 1999년과 2004년 두 차례에 걸쳐 생활시간조사(Time Use Survey) 를 실시한 바 있다. 이 조사는 우리나라 국민이 하루 24시간을 어떠한 형태로 사용하고 있는지를 조사함으로써 국민들의 평균적인 생활방식과 삶의 질을 파악하고, 시간자원의 효율적 활용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의의를 두고 있다. 특히 생활시간조사는 각 개인의 시간별 활동내용 뿐 아니라 개인의 여러 가지 인구통계학적 특성들을 함께 조사함으로써 이와 관련된 실증적 연구를 가능하게 한다. 본 연구에서 관심을 가지고 살펴보고자 하는 것은 개인의 생활시간소비 행태는 성별 및 사회적 역할과 연관되어 있다고 생각되기 때문이다. 특히 개인의 피로도의 정도와 생활시간 소비 형태와의 관련성에 초점을 두고 대응분석과 일반화 선형혼합모형 분석기법을 통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Korean National Statistics Office had accomplished the Time Use Survey at 1999 and 2004, where we were able to investigate how citizens consume their times for a whole day. Furthermore, these results could be used for the research to look around a time lifestyle and the quality of life. Various empirical studies can be encouraged with the Time Use Survey since it collected one s activities for a whole day and his or her demographics. We concern sexual and social differences in the time consumption of a individual s lifestyle. In this paper, the corresponding analysis and the generalized linear mixed models are used on conside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ime use and fatigue condition of the survey respondents.

1. 서론

2. 연구배경 및 연구방법

3. 분석결과

4. 토의 및 연구과제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