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2984.jpg
KCI등재 학술저널

맥상 분류를 위한 맥진기 데이터의 분석

Analyzing Pulse Analyzer Data for Dividing Pulse Pattern

  • 34

본 연구는 한의학에서 진단방법으로 많이 이용되는 맥진에서 맥상의 판별에 여러 가지 통계방법을 적용해 보았다. 본 연구에서 사용하는 데이터는 정상인을 대상으로 성별에 따라 10대에서 60대 이상까지 다양한 연령대별로 수집한 1873명의 데이터이다. 피험자는 한의사로부터 임상에서 많이 이용되는 3가지 종류의 맥상인 부/중/침, 허/중/실, 대/중/세 중에서 한 가지 경우씩 맥상을 진단받았다. 한의사가 손끝으로 느끼고 진단한 맥상의 결과를 객관적인 데이터를 이용하여 판별하는 함수를 만들기 위해 각 피험자에 대하여 한의사가 진맥한 부위를 맥진기로 측정하였고 여기서 측정된 맥진기 데이터를 맥상을 판별하기 위하여 이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한의사가 판별한 맥상과 맥진기 데이터를 이용하여 판별한 맥상이 얼마나 일치하는지 알아보았고, 향후 맥상 분류연구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Pulse is one of the basic diagnostic information of TKM(Traditional Korean Medicine). But the diagnosis method is subjective and it depends on doctor s condition. Hence it is necessary to quantify and standardize pulse diagnosis method. In this study, Oriental doctor diagnosed patient s pulse pattern, then, to accurately measure pulse signal, patient s pulse was measured by pulse analyzer which had been developed in latest years. We developed pulse pattern discrimination function by using pulse analyzer data. Data used in this analysis are collected from 1873 patients who were in normal condition. As a basic research of analyzing pulse data, we divided pulse data into three kinds of pulse patterns. Then we compared discrimination functions and we showed problems which have to be solved for objectifying pulse analyzer.

1. 서론

2. 분석자료

3. 맥진기 데이터 분석

4. 고찰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