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5일 근무제와 취업자 생활변화
The Five-day Workweek System and Life Change of the Employed Person
- 김희재(Hee Jae Kim)
- 한국자료분석학회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
- Vol.10 No.1
- 등재여부 : KCI등재
- 2008.02
- 489 - 500 (12 pages)
주5일 근무제의 도입은 단순히 노동시간의 절대적 감소와 자유시간 특히 여가시간의 증대라는 시간양의 증감 차원에 그치지 않고, 일상생활 전반에 걸친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본 연구는 취업자를 중심으로 직업별 취업자들의 주5일 근무제 이후 업무능률, 업무부담 등 직장생활에서의 변화가 어떠한가를 살펴본다. 주5일 근무제 시행 이후 변화된 생활에 어떤 활동들이 영향을 주었는지를 주5일 근무제 시행여부 및 취업자 직업별 비교를 통해 그 차이를 밝히고자 했다. 본 연구의 결과, 주5일 근무제 시행이 그렇지 못한 미실시, 비해당 집단에까지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주5일 근무제는 업무능률 변화 및 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보였다. 각 직업집단별로 생활만족도 영향을 주는 변수가 유의미하게 차이를 보이고 있는데, 생활 만족도를 긍정적인 방향으로 높이기 위해서는 집단별로 세분화된 접근이 보다 필요하며, 특히 기능 및 기계조립직은 노동부문에서는 업무능률변화, 만족도 변화에서는 여가생활만족만이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어, 다른 직업군에 비해 세밀한 지원과 개선이 요구된다.
The imposition of a five-day workweek system is changing people s everyday life in terms of diminishing labour times which improves employees leisure times. This study examines varied changes of work-life on a work responsibility and work load after an introduction of a five-day only work week. Furthermore, we study various influences of leisure times, hobby activity, family lifestyle, social activity, and self-improvement on the imposition of the legislation. We try to find out different changes of people s life-style between work fields and the imposition and deposition of the act. In the result of this study, we find both affirmative influences not only from groups under a five-day workweek system, but also from the other groups under the deposition of the act. This is because this new system influences on all work forces.A five-day only work week influences expecially on changes and improvements of working responsibility.
1. 서론
2. 기존연구 검토 및 기초통계
3. 주5일 근무제 시행 여부에 따른 분야별 영향 분석
4. 주5일제 시행여부에 따른 생활만족도 분석결과
5. 결론 및 고찰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