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 Web 사이트 군집화 및 다차원척도
Clustering and Multidimensional Scaling of the Government Web Sites
- 조영임(Young Im Cho) 정형철(Hyeong Chul Jeong) 오강탁(Kang Tak Oh) 곽희섭(Hee Sub Kwack)
- 한국자료분석학회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
- Vol.10 No.2
- 등재여부 : KCI등재
- 2008.04
- 1103 - 1115 (13 pages)
본 연구에서는 2007년 12월 현재 우리나라 중앙행정기관 (18부 18청 2실 4처 4위원회)의 부처 중 대통령 직속기관 및 기타 부서 등을 포함한 50개 부처에서 운영하는 312개 정부 웹 사이트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분석 순서는 다음과 같다. 먼저, 수요자 입장에서 정부 웹사이트 특징을 측정하는 체크리스트를 개발하였다. 그리고 5인의 웹사이트 평가 전문가에게 312개 웹사이트를 균일하게 배분하여 체크리스트에 따라 해당 웹사이트를 평가하게 하였다. 평가된 자료에 기초하여 정부 웹사이트를 3개의 군집으로 분류하였다. 또한, 50개 부처에 대해 다차원척도법을 사용하여 50개 부처를 2차원 공간상에 포지셔닝 하였다. 이를 통해 정부 웹사이트의 구성 상태와 부처 간 연계 가능성을 살펴보고 부처 별 상호 연계 및 통합 방안에 대한 실마리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For the last decade, the government web sites have been focused on the construction of their homepages rather than the construction of integrated web sites. But, the government web site have to be constructed the intelligent and integrated web site for meeting the end users s expectations about information searching and services. In this paper, we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312 web sites which were under central government control not local government. The analysis has the following procedures. First, we developed the evaluation indexes of web site. Five expert evaluated the 312 government web sites. K-means clustering method was used for segmenting the government web sites. Finally, multidimensional scaling method was used for positioning the web sites on the two dimension configuration space. Throughout the process, we established some interconnection strategies among the Korean chief government portal and government web sites.
1. 서론
2. 평가항목
3. 군집분석
4. 정부 웹사이트의 부처별 다차원 척도
5.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