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모바일 서비스 이용의도 결정요인에 관한 실증연구
지각된 가치와 신뢰를 중심으로
- 강낙중(Nak Jung Kang)
- 한국자료분석학회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
- Vol.10 No.2
- 등재여부 : KCI등재
- 2008.04
- 865 - 878 (14 pages)
본 연구는 발전한 모바일 환경을 배경으로 소비자들의 모바일 서비스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기존의 선행연구에서 이론적 배경으로 채택된 기술수용모형(technology adoption model: TAM)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그 대안으로 소비자가 지각한 가치에 중점을 둔 분석을 행하면서 신뢰의 상호작용효과를 함께 고려하였다. 분석 결과 지각된 가치의 다차원중 기능적, 금전적, 감정적 가치는 모바일 서비스의 이용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사회적 가치의 경우에는 유의하지 않게 나왔다. 또한 지각된 가치와 신뢰의 상호작용효과를 살펴본 결과 기능적, 금전적 가치와 신뢰와의 상호작용효과는 유의하게 나타났으나 사회적, 감정적 가치의 경우는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는 모바일 서비스 이용에 있어, 모바일 서비스 이용자들이 지각하는 가치에 중점을 두고 그 내용을 좀 더 세분화한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국내 모바일 서비스 수용 관련 기존 연구를 보완하고 이해의 폭을 넓히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developed and empirically tested a model examining the determinants of intentions to use mobile service based on the conception of perceived value and trust.On the basis of survey data from 86 mobile service users in Busan Korea, the empirical evidence of this study showed that intentions to use mobile service were most influenced by perceived functional, monetary and emotional value. The influence of social value was not significant. Trust also reinforced the effects of functional and monetary value via interaction effect whereas social and emotional value did not. This study represents an efforts towards an empirical research for better understanding of intentions to use mobile service and advanced research related to mobile service.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설계
IV. 실증분석
V.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