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2986.jpg
KCI등재 학술저널

정서에 따른 정보처리의 질적 차이

분노와 즐거움을 중심으로

  • 28

개별 정서에 따라 정보처리 방식의 차이가 존재하지만 정적 정서와 부적 정서에 속해있는 분노 정서는 똑같은 휴리스틱 정보처리 방식을 사용한다. 정서의 질적 차이뿐만 아니라 각 정서가 처리되는 상이한 뇌의 영역 등의 영향으로 두 정서의 휴리스틱 정보처리에서의 질적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참가자들을 분노, 즐거움, 통제 조건으로 분류하여 각 집단의 정서 유도를 위한 영상을 보여준 뒤, 자기보고식 정서평정을 실시한 후, 모든 조건이 동일한 언어추론과제와 공간추론과제를 수행하게 하였다. 언어추론과제에서는 분노-통제-즐거움 조건 순으로 정답률이 높고, 반응시간이 빠르게 수행되었으며 각 조건 간 수행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공간추론과제에서는 분노-통제-즐거움 조건 순으로 정답률이 높고, 수행시간이 빠르게 수행되었지만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정서에 따른 정보처리의 차이가 특정 과제에 선택적 영향을 미친 것을 시사한다. 본 연구에 대한 제한점과 후속 정서 연구에 대한 제안을 논의하였다.

Though the processing styles of the individual affective state is a difference, a person usually uses for heuristic processing style in the anger affe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qualitative difference in the two affect (anger, delight) and to learn the difference of heuristic processing which is affected by brain. Participants are divided into anger, delight, and control conditions. The videos which cause affect is presented each of three groups. Participants rated the videos, and then they performed the linguistic inference task and the space inference task. The result of the linguistic inference task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of each condition. Participants had anger affect were more faster and correct responses than the other(control, delight). The result of the space inference task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each group. Also, Participants feel anger were more faster and correct performance. From these results, information process is influenced by affect, which is especially effective for the linguistic inference task.

1. 서론

2. 방법

3. 결과

4.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