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3005.jpg
KCI등재 학술저널

3.1운동 직후 불교계의 임시정부 참여와 항일운동

Resistance activity of Korean Buddhism to Imperial Japan after the Independence Movement of March

  • 50

1919년 3.1운동은 일제에 항거하는 민족운동이었다. 불교계는 만해와 용성이 민족대표 33인으로 참여하였으며, 젊은 불교청년들이 적극적으로 중앙과 지방에 만세운동을 일으켜 3.1운동의 지평을 넓힐 수 있었다. 3.1운동의 목표였던 독립을 성취하지 못하자 항일투쟁은 다양하게 전개되었다. 상해에서 한국을 대표하는 임시정부가 설립되어 대일항쟁을 지속하였고, 국내에서는 여러 항일단체가 결성되어 일제에 저항하였다. 불교계 역시 3.1운동을 통해 불교계의 부족한 점과 자주적 역량에 대해 인식하게 되었다. 그런 인식을 바탕으로 불교계는 3.1운동 직후 일제에 대한 항쟁을 지속하였다. 상해 임시정부를 비롯하여 항일단체인 조선민족대동단, 대한민국청년외교단, 대한독립애국단, 그리고 군자금 모집 활동 등 많은 방면으로 불교인들이 참여하였다. 이들은 3.1운동 이후 상해 임시정부로 건너가 국내사정을 전하는 한편 향후 항일운동 방향을 논의하였다. 귀국 후 신문을 제작하여 해외 독립활동을 소개하고 국내 유력인사의 상해망명과 국내 제2회 독립만세운동에 참여하였다. 그리고 타종교 및 지역유지와 협력하여 독립운동을 전개하는 한편 독립자금을 모금하여 임시정부에 보냈다. 이런 항일운동으로 체포된 후 옥사한 경우도 있으며, 출옥 후 지속적인 항쟁을 벌인 경우도 있어 불교계의 항일정신 계승에 공헌하였다.

The 3.1 movement that took place in 1919 was an independence movement against Japan. In Korean Buddhism, Manhae and Yongseong participated. And young Korean Buddhists actively participated. The struggle against Imperial Japan has been diversified.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Korea was established in Shanghai, China. Several anti-Japanese organizations have been formed in Korea. Korean Buddhists have learned a lot about the shortcomings after the Independence Movement of March. Korean Buddhists joined this group and fought against Imperial Japan. Independent activists produced newspapers to introduce overseas activities, helped domestic celebrities exile overseas, and ran a demonstration against Imperial Japan. Korean Buddhists gathered funds to help several anti-Japanese organizations. Korean Buddhists were arrested and lived in prison. They also died from disease in prison. After they got out of prison, they fought against Imperial Japan again.

Ⅰ. 서 론

Ⅱ. 3.1운동 이후 불교계의 임시정부 참여

Ⅲ. 3.1운동 이후 항일단체와 불교계 활동

Ⅳ. 3.1운동 이후 불교계의 독립자금 모집

Ⅴ. 결 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