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스웨덴 남성들의 육아휴직 참여 경험을 심층 탐구함으로써 윤리경영의 차원에서 시사점을 도출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의 의의는 크게 세 키워드, 즉 저출산・고령화라는 사회경제적 도전, 일-삶 균형(work-life balance), 성 평등 증진 등에서 찾을 수 있다. 스웨덴 남성의 육아휴직 참여율은 전체 휴직자의 45%로, 세계 최고 수준이다. 본 연구는 그것이 가능하게 된 배경을 학술적으로 해명하기 위해 제도적 차원, 문화적 차원, 피드백 차원에 주목, 문헌연구와 심층면접, 참여관찰 등 질적 방법론을 채택했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웨덴 남성들의 높은 육아휴직 참여는 결코 자연적 현상이 아니라 성 평등 및 육아의 사회적 책임을 인지한 정부의 제도적 촉진 과정이 주효했다. 1974년 세계 최초의 부모육아휴직제 도입 이후 제도적으로 가장 중요한 전환점은 2002년이었다. 그것은, 남성과 여성 모두에게, 양도 불가하고 불용 시 소멸되는 60일간의 육아휴직을 부과함과 동시에 이를 거부하는 기업에 대해 엄격히 처벌하는 제도를 도입한 것이다. 이후 2016년에 도입한 3개월 할당제는 그 제도적 연장으로 오늘에 이른다. 둘째, 제도적 변화와 더불어 중요한 점은 스웨덴인들의 문화적 촉진 과정이다. 즉, 사회 전반의 삶에서 성 평등과 가사 및 육아의 분담을 실현하려는 스웨덴 사회의 분위기가 상당한 역할을 했다. 이는 직장문화, 즉 노동문화 및 기업문화에서 육아휴직을 당연시하는 풍토가 확산되고, 나아가 사회문화에서도 육아 및 가사 노동에 남성과 여성이 동반자가 되는 풍조가 강했음을 뜻한다. 즉, 제도가 변하니 의식(문화)이 변했고, 의식이 변하니 참여가 촉진됐다. 셋째, 긍정적 피드백 효과 또한 중요했다. 특히 육아휴직에 적극 참여한 남성들은 그 과정에서 아이와의 친밀한 관계를 회복하고 아내의 고충을 세심하게 이해하면서, 또 자신의 삶을 재성찰하면서 향후 제도적으로나 사회문화적으로 성 평등의 실현이 중요함을 체득했다. 스웨덴의 높은 남성 육아참여는 이 다차원의 효과가 결합된 결과라 해석된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이론적, 정책적 시사점과 한계점을 논한다.
This study aims to obtain some implications for ethical management by investigating the experiences of Swedish fathers with participation in parental leave for child-care. The significance of the current study lies in three key words such as low birth-rate, work-life balance, and gender equality. Sweden is the first in the participation rate of males in parental leave for child-caring. This study tries to shed light on its background in three dimensions: institutional, cultural, and feed-back dimension by adopti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high participation rate of Swedish fathers in parental leave for child-care is not a natural phenomenon but a result of institutional promoting by governmental policies. Especially, the instatement of the exclusive two-months for each parent (fathers’ months) since 2002 built a turning point. Secondly, the socio-cultural promotions among the Swedish people also played a critical role. The societal climate for enhancing gender equality and sharing house work and child-care was of significance. Workplace culture as well as family culture was facilitating the male participation. Third, positive feed-backs of the parents towards policy-makers and cultures were also important. These accelerated the evolution of institutions. All these dimensions combined had positive impact on the high participation rate of Swedish fathers in parental leave for child-care. In sum, change of institution radically changed consciousness and culture, and this in turn promoted the fathers’ participation in parental leave.
Ⅰ. 서 론
Ⅱ. 선행 연구 검토 및 착안점
Ⅲ. 질적 연구의 설계
Ⅳ. 주제 분석의 내용
Ⅴ.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