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2980.jpg
KCI등재 학술저널

무용수의 인적특성, 무용수준 및 무용전공의 차이가 무용 참여동기에 미치는 영향

The Analysis of Dancer s Characteristics, Experiences on the Dancing Motivation

  • 7

본 연구는 부산, 울산, 경남 지역에서 현재 무용 활동을 하고 있는 여자 무용수 179명을 대상으로 무용 참여동기(내적 동기, 외적 동기)가 인적특성(연령, 학력, 전공)과 무용수준(무용 경력, 입상 기간, 연습빈도, 연습 시간)에 따라서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를 조사하여 무용수들의 지속적인 흥미유발 및 동기부여를 위한 자료를 마련하고자 실시하였다. 조사도구로는 스포츠 참여동기 설문지로서 문항분석과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 후 본 조사에 사용하였으며, 결론적으로 무용수의 연령별 무용 참여동기 차이를 분석한 결과 연령이 많을수록, 학력이 높을수록, 무용경력이 많을수록 무용 참여동기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현대무용과 한국무용 전공자에 비하여 발레 전공자의 무용 참여동기가 낮게 나타났다. 또한 첫 입상에 소요된 기간과 무용수의 연습빈도별 무용 참여동기 차이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판명되었다.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the effects of participating motivation(internal or external motivation), personal characteristics(age, career, major), and dancing level(career, prize period, practice frequency and time) of 179 female dancers who were in action in Busan, Ulsan and Kyung-Nam, and to prepare a data for dancers continuous interest or motivation. It was used sports participating motivation questionnaire for research after inspecting content analysis and reliance or propriety. Results was showed that dancers of elder than younger, educated than uneducated, much experienced than novice had higher participating motivation, and that the ballet dancing group occupied lower mark in dance participating motivation than modern dancing and Korean traditional dancing. Also, it showed that participating motivation of dancers who gained prize after 12 months was the highes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ractice frequency and motivation by practicing time of dancers.

1. 서론

2. 연구 방법

3. 연구 결과

4.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