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선박 시뮬레이션과 실제 항해 상황에서의 항해사 상황인식 요소에 대한 통합적 과제 분석
Integrated Task Analysis on Mariner s Situation Awareness Using Ship Simulator and Real Navigation
- 한국자료분석학회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
- Vol.9 No.3
- : KCI등재
- 2007.06
- 1417 - 1429 (13 pages)
본 연구는 항해사가 선박을 제어하는 과정에서 보이는 상황인식과 이에 따른 항해 수행 사이의 본질을 이해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선박 조종 시뮬레이션 환경과 항해 실습선을 이용한 실제 항해 환경에서 항해사가 수행하는 항해 과제들을 상황인식 요소의 각 단계에 따라 분류한 후, 항해 훈련 유형(선박 조종 시뮬레이션과 실습선을 이용한 실제 항해 훈련)과 항해 상황(출항, 순항 및 입항)에 따라 어떠한 상황인식 요소가 빈번하게 관찰되는지 비교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상황인식의 각 요소들 중 단순히 정보를 지각하는 것에 비해 여러 정보 요소들 사이의 관계를 통합적으로 이해하거나 이를 바탕으로 미래 상황을 예측하는 수행 요소들이 더 빈번하게 관찰되었다. 둘째, 시뮬레이션 환경이나 실제 항해 환경 모두에서 주변의 혼잡한 교통량 속에서 선박을 안전하게 정해진 지점에 접안해야 하는 입항 상황에서 미래 상황 예측 요소가 빈번하게 관찰되었다. 셋째, 순항 상황인 경우는 시뮬레이션 환경과 실습선을 이용한 실제 항해 환경에서 차이를 보여 시뮬레이션 환경에서는 미래 상황을 예측해야 하는 과제가 매우 많이 수행되는 반면, 실제 항해 상황에서는 레이더 감시나 해도 확인 등, 지각된 정보를 통합해야 하는 과제가 더 많이 수행되었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analyze mariners navigation tasks based on their situation awareness(SA). For this purpose mariner s SA elements including perceiving and integrating external stimuli and predicting future situation were related to mariners navigation tasks in various navigation environments(arriving in port, cruising, and departing from port) using two types of navigation training methods(ship handling simulation and real navigation on school ship).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ing. First, the mariner s navigation tasks of integrating external information and predicting future situation based on the integrated information were more frequently requited than simple perceiving information. Second, Tasks relating to predicting future situation appeared to be more important and frequently required in the situation of entry in port than other situations. Third, in cruising situation where relatively fewer distracters around own ship, SA elements of predicting future situation were more frequently required in the ship control simulation environment, whereas those of integrating information elements were more frequently required in the real navigation environment.
1. 서론
2. 연구목적
3. 방법
4. 결과
5. 논의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