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포츠 브랜드신발에 대한 브랜드 컨셉-이미지가 지각된 품질 및 브랜드 신뢰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Brand Concept-Image on Perceived Quality and Brand Trust of Athletic Shoes in College Student
- 한국자료분석학회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
- Vol.9 No.3
- : KCI등재
- 2007.06
- 1369 - 1379 (11 pages)
스포츠 브랜드 신발의 기능적 이미지, 상징적 이미지, 경험적 이미지와 지각된 품질의 관계를 규명하고 나아가 지각된 품질이 브랜드 신뢰도에 미치는 인과관계를 규명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이를 위해 양적 연구 방법 중 설문지 방식을 이용하여 상관관계, 탐색적, 확인적 요인분석, 및 공분산 구조분석 등을 SPSS ver 10.0과 AMOS 4.0 프로그램으로 실시하였고, 총 표본 수는 250명이었으나 불성실하게 응답한 16부를 제외한 234명의 설문지를 본 연구에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돌출하였다. 첫째, 기능적 이미지가 지각된 품질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고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상징적 이미지가 지각된 품질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경험적 이미지가 지각된 품질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고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지각된 품질과 브랜드 신뢰도의 인과관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고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ausal relationship brand trust among the brand concept-image(functional, symbolic, and experiential) and perceived quality in colleg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basketball. Responses were collected from 234 questionnaires which participated in the survey chosen by convenient sampling from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basketball, A total of 250 responses were used in data analysis; 16 questionnaires were excluded from data analysis because of incomplete or missing data. To conduct this study the hypothesized structure equation model(SEM) was used by Amos 4.0. the result of this study disclosed; first, functional brand image was statistically positive causal relationship with perceived quality. Second, symbolic brand image was not statistically causal relationship with perceived quality. Third, experiential brand image was statistically positive causal relationship with perceived quality. Lastly, perceived quality was statistically positive causal relationship with the brand trust in basketball.
1. 서론
2. 연구방법
3. 결과
4.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