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명품 쇼핑 요인과 소비자 추구가치가 쇼핑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Effects of Environmental Elements of Masterpiece Shopping and Value of Consumers to Shopping Satisfaction
- 한국자료분석학회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
- Vol.9 No.3
- : KCI등재
- 2007.06
- 1345 - 1355 (11 pages)
소비의 양극화 현상과 삶의 질을 중시하는 소비자의 의식 변화에 따라 우리사회는 명품 신드롬이라 불릴 만큼 명품(名品) 소비가 확산되어 가고 있다. 이처럼 소비시장 환경의 변화에 따라 명품의 특성을 살펴보고, 5가지 유형의 명품 소비자군을 중심으로 본 연구에서는 서비스 환경에 대한 기존의 연구들을 토대로 서비스 평가요인으로서 서비스 환경의 중요성을 살펴본다. 그리고 서울, 대구, 부산지역에 거주하는 20대부터 60대 이상까지의 남녀를 대상으로 2006년 3월 7일부터 30일 사이 자기기입식(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설문조사방식으로 총 600부를 배포하여 신뢰성이 부족해 보이는 설문지 4부를 제외한 최종 596부를 SAS 9.1, SPSSWIN 11.0, AMOS 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증분석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자료에서 소비 환경이 고객의 가치관과 어떤 관련을 가지며, 구매 후 고객이 느끼는 만족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여 명품 마케팅 전략을 실천하는데 유익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There seems to be spreading masterpiece shopping in consuming market in accordance with the existing state of bipolar consumption and changing of consumers consciousness of attaching importance to quality of life. For achieving this purpose, we conduct a questionnaire survey of 600 customers from in their twenties to in their sixties living at Seoul, DaeGu, and Busan who use brand products. After the survey, 4 samples unreliable are excluded and 596 samples are analyzed by SPSSWIN 11.0, AMOS 4.0 program.In conclus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the importance of physical environments as the factor of valuation, to understand how the service physical determinant factors influence customer s feelings about the value and behaviors after the service, and to derive worthwhile suggestions about marketing management strategy.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의 설계
IV. 가설 검증 및 논의
V.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