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2982.jpg
KCI등재 학술저널

전라북도 인구이동 및 내부이동 실태분석

Analysis of Intra-regional Migration Actual Conditions on Jellabuk-Do

  • 34

인구이동에 대한 자료가 통계청 등으로부터 매년 제공되고 있음도 불구하고, 왜 인구이동이 이루어지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인구이동모형을 이용한 거시적인 관점에서의 설명만 있을 뿐, 인구이동자료를 활용한 구체적인 분석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라북도 인구이동 및 내부이동 실태를 살펴보고, 선행연구를 토대로 종단적인 관점에서 비교해 보았다. 나아가 회귀분석 등을 통하여 전라북도의 인구이동에 영향을 미치는 원인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전라북도의 인구이동은, 인구수가 주요변수인 경상남도나 아파트 매매가의 차이가 인구이동의 주요변수인 서울과는 다른 양상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전라북도 행정당국에서는 이러한 점을 인구관련 정책수립 시에 적극적으로 활용하기를 기대해 본다.

The information on migration is provided by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there remain but rough explanations using models of migration from a holistic perspective. After all, we are lack of specific analysis with the help of information on migration. Accordingly, on the base of information as to migration, this study is going to probe the status of migration in Jeollabuk-Do. Also, based on the precedent researches, it examines the status and the characteristics on longitudinal aspects. Furthermore, it searches for the reasons having an impact on migration in Jeollabuk-Do via regression analysis.As a result, the characteristics of the migration in Jeollabuk-Do is unlike in Kyeongsangnam-Do and Seoul city. Consequently, it is expected for the local government of Jeollabuk-Do to apply the result of this study to making policies positively.

1. 서론

2. 전라북도 내 시·군의 인구이동 실태

3. 전라북도 인구이동 자료를 이용한 통계분석

4.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