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의무기록정보를 활용한 48시간이내 사망환자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eatures of Patients Died within 48 Hours by Using Hospital Information
- 김광환(Kwang-Hwan Kim) 김용하(Yong-Ha Kim) 한상태(Sang-Tae Han) 강현철(Hyunchul Kang)
- 한국자료분석학회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
- Vol.9 No.4
- 등재여부 : KCI등재
- 2007.08
- 1653 - 1659 (7 pages)
순사망률은 경우에 따라 보고기관에 의해 요구되면서도 다른 위험요인은 고려되지 않으므로, 의료의 질을 측정하는데 사용이 제한되기도 한다. 특히 48시간 이내 사망환자가 중요한 이유는, 의료법 제18조(진단서)에 의하면 48시간 이내 사망자는 재 검안 없이 진단서 발급이 가능하며, 의료기관평가 사망환자 통계지표(의료기관 평가지침서, 2007), 수련의 실태조사서 통계지표(대한병원협회, 2007) 의료법 등 국가 보건의료통계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이기 때문이다.이에 본 연구에서는 48시간이내 사망환자 관리를 위해 국내 K종합병원의 의무기록 정보를 이용하여 사망환자의 특성과 연령 실태를 파악하여 평균수명에 관한 기반정보를 제시하고자 한다.
Death rate has been sometimes limited to use for measuring quality medical services since other risk factors are not considered, while it has been required from the reporting organizations in some cases. The reason that patients died especially within 48 hours is important, is as that it s possible to issue a diagnosis without rechecking and the patients are very important part in national health and medical statistics, e.g. Statistic index of died patients measured by medical institutes(Evaluation guideline of medical institutes, 2007), Statistic index of residents examination of realities(Korea Hospital Association, 2007), and so on referring the medical law the 18th(diagnosis).This study provides fundamental information about average life span by finding out features and ages of died patients by using medical recorded information of K hospital in Korea for managing patients died within 48 hours.
1. 서론
2. 48시간이내 사망환자의 일반적 특성에 관한 자료 분석
3. 결론 및 토의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