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는 이상준이 출판한 두 권의 “조선속곡집”을 통해 당대의 음악가 이상준의 의식을 발견하고자 하였다. 이상준은 1914년에 “조선속곡집 상권”을 출판하고 15년 후인 1929년에 다시 “조선속곡집”을 출판하였다. 1914년에 출판한 것이 “조선속곡집 상권”으로 제목을 붙인 것으로 보아 1929년에 출판한 “조선속곡집”은 1914년에 출판한 것의 속편인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두 책의 편제와 수록곡의 양상을 비교한 결과 수록곡이 중복되는 것이 있고 악곡의 변화도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1929년에 출판한 “조선속곡집”은 1914년의 “조선속곡집 상권”의 후속편인 것은 분명하지만 1914년에 출판된 것 ‘보다 완성된 형태’의 “조선속곡집”임을 짐작할 수 있다. 그리고 이렇게 비슷하지만 다른 책을 15년이 지난 후에 출판했다는 사실을 통해 근대 음악가 이상준이 조선 노래에 대해 어떤 의식을 가지고 있었는지 확인할 수 있었다. 먼저 이상준이 가진 조선악에 대한 애정이다. 이상준은 서양악을 전공하고 당시 학생들에게 ‘창가’를 가르치는 창가교사로서 활동하였지만 따로 ‘조선악’을 배우는 열정을 가질 만큼 ‘조선악’에 대한 높은 애정을 가진 인물이었다. 그랬기에 그의 많은 저작물 가운데 가장 첫번째 저작물이 조선악 전반을 망라한 “조선속곡집 상권”이 될 수 있었던 것이다. 또 책의 곳곳에서 ‘독자’에게 각각의 연원, 의미 등에 대한 설명을 따로 부기한 점은 그가 “조선속곡집”에 선별하여 수록한 조선노래에 대한 애정이 얼마나 컸는지를 짐작하게 해준다. 또 이상준이 구비 전승되는 수 십곡의 조선 노래를 오선보에 채보한 것은 ‘실체가 없는 옛소리’로 화석화 시키지 않고 ‘표준화’하여 눈에 보이는 실체를 만들어 내고자 한 이상준의 의지를 확인할 수 있는 부분이었다.
In 1914, musician Lee Sang-jun published “Joseon Folk Song Collection Volume One,” which covered the entirety of Joseon music. Fifteen years later, in 1929, he published “Joseon Folk Song Collection,” which seemed to be a sequel to the first book. However, when comparing the compilations of songs in the two books, it was verified that there was some redundancy in the songlist and some melody changes in the songs themselves. The “Joseon Folk Song Collection” published in 1929 is presumed to be a far more advanced version of the first book and provides some insight into the mind of Lee Sang-jun regarding Joseon songs. First, it shows his affection for Joseon music. Although he had majored in Western music and served as a music teacher who taught changga to students, he was passionately inspired to study Joseon music. That is likely why the first among his many works is “Joseon Folk Song Collection Volume One.” Lee Sang-jun’s affection for the songs he selected for “Joseon Folk Song Collection” is apparent in his descriptions of the origins and implications of each song. Furthermore, the fact that Lee Sang-jun wrote the songs and preserved them by staff notation shows his intent to create something visible by standardizing the songs, rather than leaving them to become fossilized ancient songs with no real objects.
1. 들어가며
2. 두 종의 『조선속곡집』
3. 음악가 이상준의 근대 의식
4. 나오며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