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축제 브랜드 과부족에 대한 연구
A Study on Overs and Shorts of Regional Festival Brand Based on Statistical Methods - Jellabuk Do Case
- 한국자료분석학회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
- Vol.9 No.1
-
2007.02201 - 208 (8 pages)
- 이용수 10

초록
축제란 전통축제뿐만 아니라 흔히 말하는 문화제·예술제·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를 비롯한 각 지역의 민속예술경연대회 등 문화행사 전반이 이에 해당된다. 오늘날 축제는 빠르고 또 규모면에서 가장 크게 발전되고 있는 산업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1990년대 이후, 지자체별로 많은 새로운 축제가 생겨나고 있다. 이에 따라 경제규모에 비하여 많은 수의 지역축제가 거행되고 있다.본 연구에서는 전라북도에서 개최되는 축제에 대해, 회귀분석을 활용한 잔차분석을 통해 균형상태를 이룰 수 있는 적정 수의 축제 수를 찾고자 한다. 나아가 이를 지역축제 개발 시 적정수의 축제브랜드를 유지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Festival covers all kinds of the cultural events, including culture and art festivals as well as nationwide and regional folk art competitions. Nowadays, the festival has become an industry developing with rapidity in its scale. In Korea a good number of new festivals have been held by each local government since 1990. As a result, comparatively larger numbers of local festivals than the economic scale are held in each region.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appropriate number of festivals for Jollabuk-Do, which can be in harmony with the area s economic scale, through the residual analysis of the festivals in Jollabuk-do using the regression analysis. Furthermore, the result will be utilized as a basic data to sustain the appropriate number of festival brands when the local government develops its own festivals.
목차
1. 서론
2. 연구방법 및 내용
3. 축제의 정의와 기대효과
4. 통계분석
5. 결론
참고문헌
참고문헌 (0)
등록된 참고문헌 정보가 없습니다.
해당 권호 수록 논문 (40)
- 동시행동의 변화에 관한 연구
- 지역축제 브랜드 과부족에 대한 연구
- 다-대-일 통신의 인증 스킴 및 안전성 분석
- 와이브로 결합상품의 효과분석
- 생명보험 산업의 교차판매에 관한 연구
- 요가운동이 여성노인의 운동능력과 면역력에 미치는 효과분석
- 정규혼합모형을 이용한 폴드-변이 제약 마이크로어레이 유전자군집
- On the Sample Size Determination of Sequential and Multistage Procedure
- Hurdle Model for Zero-Inflated Count Data from Mobile Phone Market
- 기울어진 모집단의 층별 정보를 모를 때 회귀추정량을 이용한 사후층화에 관한 연구
- 미용실의 서비스 품질이 이용고객의 만족도 및 재방문에 미치는 영향
- 도시와 농촌지역 간의 인구구조 비교 분석
- 한국프로야구에서 승패 추정에 관한 연구
- 통계모형을 이용한 보건지수모형 개발
- 오토존데 특별관측자료를 이용한 태풍 “루사(RUSA)”의 대기 연직구조 변화 특성
- IPv6 기반의 P2P 정보공유 아키텍처 설계
- 협력적 필터링에서 개선 알고리즘을 이용한 Top-N 순위에 관한 연구
- 새로운 관점에서의 무증거성 전자 입찰 시스템에 대한 안전성 분석
- 웹 사이트의 흥미품질이 고객만족을 매개로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협동학습의 상호의존성 구조와 신뢰 수준에 따른 대학생의 협동과 집단적 효능감 및 성과기대의 차이
- 고부가가치 항만물류산업 유치 우선순위 및 전략수립에 관한 연구
- 일 지역 대학생의 문제음주 실태와 관련요인
- 데이터 퓨전 기법을 이용한 환경자료의 의사결정나무분석
- 다중접근범주를 지원하는 IEEE 802.11 기반 네트워크의 모형화와 성능 분석
- 유비쿼터스 헬스케어 서비스 수용에 대한 연구
- 부와 기업에 대한 대학생들의 의식에 관한 연구
- 35세 이하 미혼여성의 유방자가검진관련 지식, 태도, 실천과의 관계
- 자궁근종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DSOM 변수의 비교분석
- 신규공모주의 수익성과 시장의 반응
- SIR 비선형 회귀모형을 이용한 질병자료분석
- 소집단 협동학습이 수학교과의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이차원 스프라인을 활용한 호남지방 국지기온예보에 관한 연구
- 로버스트 퍼지 최소제곱회귀
- 공간회귀모형을 이용한 한반도 지진발생 예측에 관한 연구
- IPA 분석통한 농촌관광 매력속성 평가분석
- 현금흐름이 연구개발비투자에 미치는 영향분석
- 제조업을 중심으로한 한국 산업별 GDP 예측모형연구
- 빈곤, 불평등, 복지 지표 계산을 위한 소프트웨어의 검토
- 국내 대학 교수의 고용 불안정성과 지속적 몰입에 대한 고용 형태의 조절효과
- 농지개혁에 의한 사찰토지소유관계의 변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