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효과적인 경제교육을 위한 유아교사의 교수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eaching Method of Effective Economy Education for Preschool Child
- 김민아(Min-A Kim) 진금옥(Geum-Ok Jin) 한애희(Ae-Hee Han)
- 한국자료분석학회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
- Vol.8 No.5
- 등재여부 : KCI등재
- 2006.10
- 1981 - 1997 (17 pages)
우리 사회가 소비 성향이 높아지면서 유아용품의 소비도 증가하고 이에 따라 유아들이 물건에 대한 소중함은 물론 돈에 대한 가치도 점점 약화되고 있다. 이러한 사회변화에 따라 유아교육에서 경제 관련 교육은 성장기에서 경제적 가치, 태도 및 행동 형성에 매우 중요한 부분이 된다. 이는 곧 유아 경제교육에 있어서 교육의 질을 가늠하게 하는 교사의 인식에 따른 유아의 동기 부여를 위한 학습 환경, 과정, 교육활동을 스스로 계획하고, 평가해야하는 교사의 역할 역시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유아 경제교육에 대한 유아 교육현장의 실태와 교사의 인식을 알아보고자 한다. 제주도의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근무하고 있는 유아교사 298명을 대상으로, 2006년 9월 4일부터 10월 4일까지 설문지를 통해 유아 경제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그 실태를 조사하였고 SAS를 이용하여 통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교사들은 경제활동에 대해 국가 수준 유치원·보육 교육과정에서 유아 경제교육에 대해 편성된 것은 잘 알고 있었고, 교육활동을 계획할 때 유아 경제교육도 계획하여 학급에서 실시하고 있었다. 그러나 경제교육에 대한 명확한 개념정립과 함께 유아기 경제교육에서 다룰 수 있는 경제교육의 내용 및 범위가 구체적으로 정리되어야 하며, 적극적인 교사교육을 통해 경제교육의 개념, 목표, 효과, 내용에 대한 교사의 이해를 돕는 일, 다양한 교수, 학습 자료의 개발과 충분한 활용이 이루어지도록 지속적으로 현장교사와 전문가간의 연구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This research is to verify the effects of economy education for preschool child. As the level of economy comes up, children have tendency to increase in the propensity to consume and overconsumption. Therefore, teaching of economy education seems to be important for children rationally. This research of economy educational realities and recognition of teachers on it has been practiced to 398 preschool teachers in Jeju-Do from September 4, 2006 to October 4, 2006, and analyzed by using SAS packages. From the analyses, it could be seen that lots of preschool teachers knew the necessity and importance of economy education for preschool child. But it needed to be explained for teachers precisely on the scope and content of economy education for preschool children, developed studies consistently between educational experts and preschool teachers for appling referent materials.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문제 및 조사설계
IV. 분석결과
V.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