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헬스투어 관광 상품화 가능성과 중요속성비교
A Comparative Study between Health Tour Product Possibility and Health Tour Attributes
- 한국자료분석학회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
- Vol.8 No.5
- : KCI등재
- 2006.10
- 1853 - 1865 (13 pages)
최근에는 건강 추구의 라이프스타일 등장과 함께 의료와 관광이 결합된 의료관광형태의 관광활동이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헬스투어의 상품화 가능성과 그에 따른 중요한 헬스투어의 중요한 속성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지 파악하고자 관련분야의 전문가 집단 160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헬스투어 속성 및 부문에 관한 기초조사는 관련 문헌연구와 현재 운영 중인 국내외 헬스투어 유형에 대한 자료 수집을 바탕으로 공동연구자들의 논의를 통해 이루어졌다.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약 80.0%가 헬스투어의 관광 상품화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세부부문별로는 한방(31.3%), 요양(24.3%), 스포츠(15.3%), 음식(13.9%), 미용(10.4%), 양방(3.5%) 순으로 나타났다. 헬스투어 상품화를 위한 중요속성 파악을 위해 2차례의 요인분석 실시결과(35개 변수), 인적 서비스 및 시설적 요소, 레크레이션적 요소, 상품개발 및 운영적 요소, 휴식ㆍ휴양적 요소, 홍보 및 마케팅 요소, 지원적 요소의 6개의 요인으로 구분되었다. 한편, 헬스투어 관광 상품화 가능성 인지에 따른 헬스투어의 중요 속성과의 관계 파악을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인적서비스 및 시설적 요소, 레크레이션적 요소, 상품개발 및 운영적 요소, 휴식ㆍ휴양적 요소, 지원적 요소 5개의 요인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레크레이션적 요소와 상품개발 및 운영적 요소 값이 상대적으로 조금 높게 나타남으로서, 헬스투어의 관광 상품화 성공가능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이 두 가지 요인에 대한 전략이 좀 더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Today, the pursuit of healthy lifestyle and medical tourism activities are regarded as a new tourism product. This study analyzes the perception of experts on the possibility and identification of the health tour products by ident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tour attributes and possibility to develop as a health tour product. In this study, the questionnaires were contributed to 160 professionals who work in health tour industry. Health tour attributes were divided into six categories through factor analysis such as human service and facility factor, recreational factor, product development and operational factor, relaxㆍresting factor, promotion and marketing factor, support factor.From the results of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tour attributes and health tour product possibilities using regression analysis, it was estimated that human service and facility factor, recreational factor, product development and operational factor, relaxㆍresting factor, support factor were significant. Furthermore, it was verified that the value of the recreational factor and product development and operational factor is higher than others.
1. 서론
2. 헬스투어의 개념 및 현황
3. 실증연구
4. 실증분석
5.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