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궁근종 여부에 대한 DSOM 변수의 연관성분석
A Study on Association of DSOM Symptom Scores for Uterus Myoma in Oriental Medicine
- 한국자료분석학회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
- Vol.8 No.4
- : KCI등재
- 2006.08
- 1381 - 1394 (14 pages)
자궁근종은 여성의 자궁 및 골반 내에서 발생하는 양성종양 중 발생빈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특히 30세 이후에 발생빈도가 높아지는 질환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동의대학교 한방부인과에서는 실제 자궁근종 환자가 가지고 있는 증상에 대한 분석을 수행한 바 있으며, 이를 좀 더 발전시켜 자궁근종 증상지표를 개발하는 연구를 시행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고려하는 실험군은 2001년 5월부터 2006년 6월까지 동의대학교 한방부인과에 내원한 환자 중 자궁근종이 있는 환자 257명이고, 대조군은 2005년 6월부터 2006년 6월까지 DSOM(한방진단시스템 : 2005)에 응답하였으나 자궁근종이 없는 외래환자 558명이다. 본 논문에서는 자궁근종 여부와 환자들이 DSOM에 응답한 변수들간의 연관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로지스틱 회귀모형을 이용하고, 진단정확률과 민감도, 특이도를 제시하고 있다.주요용어 : 자궁근종, 로지스틱 회귀모형, 진단정확률, 민감도, 특이도.
Uterus myoma is a benign tumor of smooth muscle in the wall of the uterus. Recently, in Oriental Medicine, the concerns of uterus myoma patients has been increased. We analyze the medical records for 815 patients including 257 uterus myoma patients who visited Dongeui University Oriental Medical Center from May 2001 to June 2006. We investigate the DOSM symptom scores which effect uterus myoma patients using logistic regression mode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indicate that 17 items of DSOM were associated with the myoma, and the results show that correct rate is equal to 76.69%, sensitivity is 70.82%, specificity is 79.39%.
1. 서론
2. 연구방법
3. 자궁근종과 병기변수간의 영향분석
4. 결론 및 토의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