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2948.jpg
KCI등재 학술저널

중규모 강수와 주변기상요소의 시간·규모별 비선형 상호작용

A study on the nonlinear feedbacks in the precipitation process among environmental meteorological variables

  • 2

중규모 강수구조의 특성에 대한 최근의 연구에서는 파엽 분석(wavelet analysis)이 많이 사용되고 있지만 대부분의 연구들이 중규모 강수의 구조 특성분석에만 한정되어 있으며 중규모 강수구조와 관련된 주변 기상요소와의 시간·규모별 비선형 상호작용에 대한 연구는 미흡하다. 본 연구에서는 다분해 분석(Multiresolution analysis, MRA)을 이용하여 중규모 강수구조의 특성뿐만 아니라 이 구조와 관련된 주변 기상요소의 시간·규모별 비선형 상호작용의 특성을 알아보았다. 2000년 8월 20일에 한반도 중서부 지방에서 발생한 중규모 강수를 대상으로 하여 대전지방기상청의 1분 간격의 자동기상관측(AWS) 자료 중 강수율, 기온, 바람, 기압, 비습에 대하여 다분해 분석을 실시하고 이들의 시간·규모별 비선형 상호작용 및 그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Recently Wavelet analysis is well used in the study on the mesoscale precipitation process, but it has been limited on the precipitation process itself. In this study we focused on the feedbacks among environmental variables on the time-scale domain using Multiresolution analysis, one of wavelet analysis method. The applied case are two different mesoscale precipitation types observed on the Taejon Regional Meteorological Office in August 20, 2000.

1. 서론

2. 자료 및 분석 방법

3. 결과

4.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