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3014.jpg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조선시대 청기와 출토 사례로 본 사찰의 위상

Status of Temple Examined based on the Excavation of Blue Tiles in the Joseon Dynasty Period

  • 180

청기와 제작의 주원료인 염초는 화약을 만드는 주재료인 염토를 채취해 추출, 정제, 건조, 분쇄 등의 과정을 거쳐 만들어 진다. 당시 염초 제조는 군수물자로 관리되어서 원료 공급과 제조가 원활하지 않았다. 특히 청기와의 원료로 쓰이는 염초는 국가에서 관리할 정도로 매우 중요하게 취급하였기 때문에 청기와를 제작하는 것은 궁궐이나 왕실과 관련이 있는 건물에서만 제한적으로 사용되었다. 따라서 청기와는 주로 경복궁을 중심으로 한 권위적인 건물에서만 사용되었다. 이는 『조선왕조실록』에서 청기와를 사용했다는 기록이 확인된다. 한편 문헌기록을 살펴보면 청기와는 궁궐 이외에도 원각사, 봉선사, 장의사 등의 사찰 전각에 사용된 사례가 확인된다. 최근에는 발굴조사를 통해 관악사지, 중흥사지, 한흥사지, 원각사지, 영국사지, 서봉사지, 개흥사지, 회암사지 등에서 청기와가 확인되었다. 특히 관악사지와 회암사지에서는 용두와 청기와가 함께 출토된 극히 드문 사례로 왕실 사찰임을 알려주었다. 또한 이들 사찰에서 출토된 청기와는 수량이 많지 않고, 대부분 수키와이다. 이것으로 보아 용마루, 내림마루, 추녀마루 등의 건물 외관을 돋보이게 하는 곳에서 제한적으로 사용하여 건물의 권위를 상징했던 것으로 판단된다. 해남 대흥사 대웅보전, 김천 직지사 대웅전, 선운사 대웅전 등의 사찰 용마루에 놓여진 1매의 청기와는 그 사례로 볼 수 있다. 따라서 발굴조사를 통해 확인된 사찰 출토 청기와는 국가와 왕실의 후원을 받은 왕실사찰의 상징성을 보여주는 건축부재로 추정된다.

Blue tiles are produced with niter, which is prepared by collecting, extracting, refining, drying, and crushing the saline soil, the main ingredient for gunpowder, along with other raw materials. In China, the raw materials for blue tiles were not readily available as China treated them as highly classified materials as they were related to the application of scientific technology. Since niter, the raw material for blue tiles, in particular, was treated as an essential material that it was managed by the government, blue tiles were used restrictively for palaces and buildings related to the royal family. In other words, blue tiles were used only for authoritative buildings centering on Gyeongbokgung Palace. This is confirmed by the record in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about the use of blue tiles. However, a documentary survey found the cases of using blue tiles for temples such as Wongaksa Temple, Bongseongsa Temple, and Jangeuisa Temple other than the palace. Recent excavation surveys found blue tiles in Gwanaksa Temple Site, Jungheungsa Temple Site, Hanheungsa Temple Site, Wongaksa Temple Site, Yeongguksa Temple Site, Seobongsa Temple Site, Gaeheungsa Temple Site, and Hoeamsa Temple Site. Notably, the dragon head was found in Gwanaksa Temple Site and Hoeamsa Temple Site to indicate that the temples were for the royal family. Also, the blue tiles unearthed in the excavation survey were not large in quantity and mostly convex roofing tiles. This suggests that blue tiles were used restrictively in places where they would accentuate the appearance of the building, such as the main ridge, gable ridge, and hip ridge to emphasize the status of the building. Among temples that are still operating today, the use of a single blue tile in the main ridge of the main hall could be found in Daeheungsa Temple in Haenam, Jikjisa Temple in Gimcheon, and Seonunsa Temple. Therefore it is presumed that the blue tile excavated in the temple site found during the excavation survey is used symbolically as it was the building material that consumed great wealth and effort of the country.

Ⅰ. 머리말

Ⅱ. 문헌자료에 보이는 청기와 사례

Ⅲ. 발굴조사를 통해 확인된 청기와

Ⅳ. 궁궐과 사찰 내 청기와 사용처의 의미

Ⅴ.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