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3015.jpg
KCI등재 학술저널

여성성과 정체성

『나, 티투바, 세일럼의 검은 마녀』와 <델마>에 나타난 “마녀” 연구

  • 126

문학과 영화, 대중매체에서 주인공으로 등장하는 마녀는 기독교 문화권인 서구 사회의 집단 무의식을 반영하며 그 사회의 문제점을 함께 투영하는 대상으로 흔히 간주되고 있다. 마녀가 주인공인 많은 작품들 중에서, 『나, 티투바, 세일럼의 검은 마녀』, <델마>는 특히 이례적이며 독특한 방식으로 마녀를 재현하고 있는 작품들로 주목된다. 『나, 티투바, ....』와 <델마>의 주인공들은 시대와 국가를 뛰어넘어 인류의 문화를 공통적으로 지배하는 가부장제에 마법을 거는 마녀들로 나타나고 있기 때문이다. 티투바의 마법은 가부장제와 식민주의 체제와의 밀접한 관계는 물론, 노예 계층 내에서도 존재했던 성차별을 폭로하는 마법이다. 티투바는 점령인들의 문화인 기독교 문화가 폄하시켰던 감각과 리듬을 되살려서 식민지 조국이 원래의 생명과 활기를 되찾게 해준다. 그리고 점령자인 유럽인 뿐 아니라 같은 노예 신분의 남성들에게도 차별당하는 식민지 여성의 욕망과 육체를 해방시키고 있다. 델마의 마법은 기독교 문화권에서 죄악시하는 여성의 동성애적 욕망을 해방시켜 자신의 성 정체성을 자유롭게 되찾는 마법이라 할 수 있다. 또한 『나, 티투바, ....』에서, 마법은 거대 담론의 역사가 고의적으로 감추거나 삭제한 역사를 드러내게 하며, 이 소설을 서구 중심의 세계사에 의문을 제기하는 새로운 역사소설로 만들고 있다. <델마>의 마법은 장르 영화로 규정할 수 있는 <델마>를 쾌락적인 방식으로 가부장적인 이데올로기를 은밀히 주입하는 장르 영화의 흔한 관습에서 벗어나게 하는 마법이라 할 수 있다. 이런 관점에서 볼 때, 티투바와 델마가 자아를 찾아가는 행적은 고대로부터 내려오는 마녀의 입문의식과 공통점을 가진다. 두 주인공은 탈식민적인 육체와 동성애적 육체를 해방시키고 자연과 자유로이 융합되면서 가부장적인 관습과 구속에서 벗어난 진정한 여성적 정체성을 마침내 되찾고 있기 때문이다.

Figures centrales de l’imaginaire social, les sorci&#232;res ont hant&#233; la litt&#233;rature et le cin&#233;ma depuis des si&#232;cles. Signe d’une alt&#233;rit&#233; radicale et fantasm&#233;e, la sorci&#232;re r&#233;v&#232;le souvent la sexualit&#233; f&#233;minine, d&#233;rangeante et d&#233;valoris&#233;e par la soci&#233;t&#233; patriarcale. Certains textes des derni&#232;res d&#233;cennies du XXe et du XXIe si&#232;cle transforment cette femme monstrueuse en personnage marquant et rebelle. La sorci&#232;re devient &#224; pr&#233;sent une des figures incontournables permettant de revaloriser la culture f&#233;minine dans les œuvres litt&#233;raires et cin&#233;matographiques. Dans Moi, Tituba, sorci&#232;re noire de Salem, roman de Maryse Cond&#233;, l’ambigu&#239;t&#233; des voix narratives, l’alternance du monde r&#233;el et du monde surnaturel d&#233;stabilisent le point de vue dominant et ach&#232;vent de d&#233;construire l’Histoire officielle. La magie permet &#224; Tituba de restaurer l’identit&#233; antillaise proprement f&#233;minine, mise &#224; l’&#233;cart par la culture coloniale europ&#233;enne. Dans Thelma, la force surnaturelle de l’h&#233;ro&#239;ne subvertit le monde puritain bas&#233; sur le christianisme fanatique et l’am&#232;ne &#224; prendre conscience de sa sexualit&#233; homosexuelle. Sorci&#232;re repr&#233;sentant un contre-pouvoir f&#233;minin, Thelma se retrouve connaisseuse de la nature et red&#233;finit son identit&#233; v&#233;ritable, d&#233;tach&#233;e des valeurs patriarcales.

1. 머리말

2. 경계 없는 서사 마녀의 이야기

3. 감각과 리듬 - 마녀의 육체

4. 전유와 패러디 - 변신하는 마녀

5. 결론

참고문헌 및 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