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2955.jpg
KCI등재 학술저널

완전응답과 단위무응답하에서의 사후층화와 보정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

Study on the Relation of Poststratification and Calibration subject to Total Response and Nonresponse

  • 2

단위 무응답 상황에서 사후층화 추정, 회귀 추정, 보정 추정 또는 일반화 래킹 추정을 포함하는 다양한 추정 방법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러한 모든 방법들은 무응답 하에서 보정 추정의 특별한 형태로 나타나며, 또한 이들은 주어진 범주형 보조변수 하에서의 사후층화 이론에 기초를 두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Zhang(2000)의 연구와는 다르게 단위 무응답 상황하에서 보정 추정량은 일반화된 사후층화 추정량이며, 이는 보조정보의 형태에 따라 좌우됨을 알 수 있다.

We consider the various estimation methods including the post-stratification estimation, regression estimation and calibration estimation or a generalized raking estimation under a unit nonresponse. They have a special type of calibration estimation based on the categorical auxiliary variables. In this paper we find that the calibration estimator is generalized the post-stratified estimator and it depends upon the types of auxiliary variables strong correlated with an interest variable.

1. 서론

2. 사후층화, 추정 그리고 보정 추정

3. 단위 무응답 하에서의 보조변수의 형태에 따른 사후층화와 보정

4.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