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2956.jpg
KCI등재 학술저널

특별기상관측자료를 이용한 기압골 통과시 황해중부해상의 기상특성

Meteorological Characteristics in the Middle Part of Yellow Sea based on Intensive Upper-Air Observation Data during the Passage of Extratropical Cyclone

1999년 4월 10일부터 4월 14일까지 서해중부해상에 위치한 외연도 (36°10 N, 126°04 E)에서 집중기상(지상, 고층)관측을 실시하였으며, 이 집중관측자료를 사용하여 기압골 통과시 서해상의 기상특성(혼합층 성장, 대기연직구조)을 조사하였다. 관측기간동안 외연도의 평균기온과 최저기온은 육상 관측소(보령, 서산)와 비슷하게 나타났지만 최고기온은 5 ℃정도로 낮게 나타났다. 상대습도는 육상 관측소보다 10 %정도 높게 나타났다. 풍속의 변화 양상과 풍향의 발생빈도는 보령지점보다는 해안에 인접한 서산지점의 그것들과 유사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기상요소들의 일변화 특성은 해양의 큰 열용량이 기온의 일변화에 미치는 영향, 바람의 변화에 미치는 지형의 영향 등에 기인된다. 외연도의 평균 혼합층 고도는 900 m정도였으며 이동성 고기압의 영향하에서는 2,200 m까지 이르렀다. 기압골이 통과한 시점인 4월 12일의 경우 오산의 혼합층 고도는 외연도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동계 서해상의 기단변질 모형의 개발과 육상의 단기기상예보 향상에 매우 중요한 기초연구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An intensive meteorological observation was carried out at Oeyondo (36°10 N, 126° 05 E) to examine the meteorological characteristics in the middle part of the Yellow Sea such as the growth of mixing layer and change of vertical atmospheric structure. The observation was taken from 10 to 14 April, 1999 when an extratropical cyclone approached toward the western coastal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Compared to the surface weather variables at inland meteorological observation stations (Seosan and Poryong), it is shown that the maximum temperature at observation site was cooler than at inland sites by 5。C, mainly due to the large heat capacity of ocean. The relative humidity at observation site was higher than at inland site by 10 %. But there were no dominant differences in other variables such as wind. The average height of mixing layer during the observation period was about 900 m with maximum height of 2,200 m. On April 12, when the westerlies were strong, the well-structured mixing layer was not found at observation site, while it was observed at inland sites (up to 1,800 m height at Osan). This study provides important experimental information for the development of airmass transformation model and the improvement of short-range weather forecast over land.

1. 서론

2. 자료

3. 결과 및 고찰

4. 요약 및 토의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