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KCI등재
학술저널
Bayesian Reliability Estimation for Standby System Composed of the One and Series Unit with Imperfect Switch
간행물 정보
- 한국자료분석학회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
- Vol.5 No.2
-
2003.06153 - 161 (9 pages)
저자
- 이용수 2

초록
In this paper, we shall propose some Bayesian estimators under the uniform, the gamma and the truncated gamma prior distribution for the reliability of the one and series unit standby system with imperfect switch. In addition to Bayesian estimators some generalized maximum likelihood estimators will be proposed and compared the MSE s of the proposed Bayesian estimators and generalized MLE s in terms of various mission times and parameter values.
목차
1. Introduction
2. Reliability for the One and Series Unit Standby System with Imperfect Switch
3. Bayesian Reliability Estimation
4. Conclusion
References
참고문헌 (0)
등록된 참고문헌 정보가 없습니다.
해당 권호 수록 논문 (24)
- 중단된 자료를 갖는 이변량 파레토 모형에서 동일성 검정
- 하이퍼링크 데이터를 이용한 과학 커뮤니케이션 분석
- Interpreting PLSR and PCR Solutions via Moore-Penrose Generalized Inverse
- 로버스트추정에서 CERES 도표에 관한 연구
- 공동주택 유지관리비의 특성분석
- Bayesian Reliability Estimation for Standby System Composed of the One and Series Unit with Imperfect Switch
- 웹유시지 패턴 분류를 위한 군집분석 알고리즘
- Note on Bayesian Reliability Estimation of Two-unit Hot Standby System under Switch Prior Distribution
- Estimation of Reliabilities in Bivariate Weibull Model under Random Censorship
- A Study on Regression Tree for Count Data with a Data mining Application on Industrial Accidents
- 한반도 영향 태풍발생빈도에 대한 통계적 장기예보 모형 연구
- 감사보고서를 통한 아파트관리비 분석에 관한 연구
- Analysis of the Queue with a generalized M/G/∞ input process based on a 2-state MMFF
- The Unbalanced Modified Ranked Ordering-Set Sample Sign Test
- The Analysis of Asian Stock Markets Before and After the Asian Crisis
- 관능검사에서의 신뢰성검정을 통한 연구
- Echelon Analysis
- 자기공명영상분할에서 바이어스 필드 보정을 위한 재귀적 EM 알고리즘
- 보험 CRM에서 데이터마이닝 기법의 응용연구
- 금융상품가입에 관한 스코어링 모형 개발
- 공분산구조모형을 이용한 여성의 하반신 형태에 대한 인식도 연구
- 질의-상품 유사도 추출을 위한 검색질의문 분석
- 웹 로그데이터의 정제기법 개발 연구
- 고층관측자료에 나타난 서해중부해상에서 바람의 연직구조 변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