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2958.jpg
KCI등재 학술저널

고층관측자료에 나타난 서해중부해상에서 바람의 연직구조 변화

On the Variation of Vertical Wind Structure over the Central Part of Yellow Sea used by Intensive Upper-Air Observation Data

  • 2

1999년 4월 10일부터 4월 14일까지 서해중부해상에 위치한 외연도에서 실시된 고층기상관측으로 얻은 바람 자료를 이용하여 해상에서 바람의 연직구조 변화를 조사하였다. 외연도에 최저기압이 관측된 4월 12일 15LST경을 기준으로 풍향의 갑작스런 변화가 있었다. 바람의 직교성은 관측기간중 이동성 고기압의 영향하에서 크게 나타났다. 바람의 연직시어는 역전층 존재 고도 등 대기 열역학적 연직구조 특성과 관측지점의 지형효과로 인하여 나타나는 하층 강풍으로 인하여 고도 200-300m에서 큰 값을 보였다. 또한 혼합층 고도의 상한은 주로 풍향의 변화가 심하고 연직시어가 큰 고도에 위치하였다. 선적분법에 의해 계산된 와도의 최대값은 외연도에서 최저기압이 기록된 시각에 나타났고, 발산은 대체로 저기압의 영향을 받는 관측기간의 전반부에서 음의 발산값(수렴)을 보이다가 와도의 최대값이 나타난 시각인 12일 15LST보다 6시간이 지연된 21LST부터 양의 발산값(발산)으로 전환하였다. 이는 저기압 통과후 이동성 고기압의 영향 때문으로 해석된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서해상에서 악기상 발생 및 발달시, 해상의 특별고층관측자료와 육지 고층관측자료를 이용하여 악기상 관련 종관 기압계의 이동 및 발달을 조기에 진단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실험적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The wind data obtained form intensive upper-air observation at Oeyond, which is located in middle part of Yellow Sea, from 10 to 14 April, 1999 are used in this study in order to examine the variation of vertical wind structure over the Yellow Sea. At 15 LST 12 April when minimum surface pressure was recorded at Oeyondo, there appeared the abrupt change of wind direction. The change of wind orthogonality become larger under the influence of immigrating high pressure system than under the influence of low pressure system. Larger value of wind shear at 200-300m height than other height is closely linked with the appearing height of low-level strong wind induced from the combined effects of the presence of surface and low-level inversion layers and the topographical location of observation site. Maximum value of vorticity computed by the line integral method is present at 15 LST 12 April. Also vorticity shows negative vorticity in the first half of intensive observation period and positive one in the second half, which means the well reflection of the synoptic weather condition. Maximum value of divergence reveals at 21 LST 12 April lagged by six hours compared to the appearing time of maximum value of vorticity. This result provides useful experimental evidence in evaluation of impact of additional upper-air observation at middle part of Yellow Sea on improved diagnostic skill of synoptic weather system approaching to the Korean peninsula.

1. 서론

2. 자료 및 분석방법

3. 결과

4.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