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간변이성의 추정량들에 대한 예측력 비교 연구
A study on the performances of estimators for spatial variability - using the CO data in Korea
- 한국자료분석학회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
- Vol.6 No.1
- : KCI등재
- 2004.02
- 279 - 291 (13 pages)
공간통계학에서 공간 변이성의 추정량으로서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것은 표본세미베리오그램이다. 이 이외에도 공간 변이성의 추정량으로서 일반적인 상대 세미베리오그램, 쌍 상대 세미베리오그램, 로그 세미베리오그램, 세미마도그램 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공간 변이성의 측도들에 대해서 간단히 알아보고, 실제 환경자료를 적용한 각 측도들의 예측력을 비교 평가한다.
In Geostatistics, generally, sample semivariogram as a estimator of spatial variability(continuity) is more using than others. Also, there are alternative measures of spatial variability such as correlogram, covariogram, general relative semivariogram semimadogram, pairwise relative semivariogram, and log semivariogram etc.. In this study, we concisely introduce these measures of spatial variability and evaluate performances of them using a real data.
1. 서론
2. 공간통계학의 개요
3. 공간변이성의 측도
4. 적용사례
5.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