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실시간 배구 정보시스템
Realtime Information System of Volleyball Game
- 민대기(Min Dae Kee)
- 한국자료분석학회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
- Vol.6 No.3
- 등재여부 : KCI등재
- 2004.06
- 727 - 735 (9 pages)
스포츠통계는 과거 단순하게 결과만을 비교하는 수준에서 행위를 설명 할 수 있는 분석정보에 대한 역할로 바뀌어 지고 있다. 이를 시행하기 위해서는 우선, 모든 상황의 흐름을 기록 할 수 있는 시스템이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배구에서도 마찬가지로 팀의 경기력과 선수의 경기에 대한 기여도를 측정 평가하기 위해서는 평가항목을 만들고 그 항목에 적절한 기본 자료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하여 경기 전체의 흐름을 체계적으로 기록 할 수 있는 시스템이 구축되어야하고 축적된 자료를 기반으로 각 항목의 평가를 위한 index개발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데이터의 변환(transformation) 과정을 통하여 생성 또는 수정된 변수를 차후 모형화(modeling)에서 아주 중요한 정보로 활용하기 위하여 준비한다(김규곤, 2003a). 스포츠통계 부문의 연구는 JayBennett(1993), Frederick Mosteller(1997) 등에 의하여 많은 업적이 이루어지고 있고 실시간 스포츠입력 시스템에 대한 연구는 Min, D. K. (2001)에 의하여 발표되었다.
The object of the study is to record the real conditions along with the volleyball to analyzed output as much as one needs. the study consists of the following stages: (1) Record the data on a real-time basis: (2) Form windows to display the individual or team scores anytime when needed; (3)Windows to display the analyzed data in visualized form. The effect of the study is threefold: (1) It input all the game-related data on a real-time basis, which was impossible before; (2) It explains objectively the situations of game to the TV viewers: (3) After the game, it provide analyzed game information.
1. 서론
2. 연구내용
3.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