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등학교 검정교과서 실용수학의 생활통계 단원에 대한 비교 연구
A Study on the 7th Practical Statistics Education in Practical Mathematics Textbooks in Korea
- 이상복(Sang Bock Lee)
- 한국자료분석학회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
- Vol.6 No.4
- 등재여부 : KCI등재
- 2004.08
- 1163 - 1170 (8 pages)
본 연구에서는 올바른 중등학교 통계교육을 위하여, 제7차 수학과 교육과정 중 고등학교에서 사용하는 검정교과서 실용수학 4종의 생활통계 단원을 중심으로 용어와 개념 및 표현을 비교, 연구하였다. 중요한 점은, 검정과 국정교과서의 표본표준편차의 정의가 일치되지 않았으며, 표본 평균의 분산과 중심극한정리에 대한 개념설명이 교과서마다 상이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오류의 지적과 더불어 표본분산으로 비편향 추정량을 사용할 것을 제안하였다. 표본평균 X의 분포에 대한 설명은 모집단이 정규분포라는 가정 하에 임의표본의 표본평균 X에 대하여 중심극한정리를 한정하여 설명하는 것이 필요하며, 한 교과서 내에서 표현된 임의추출, 복원추출, 비복원추출의 개념이나 가정을 표본에서 신뢰구간 추정까지 일관성 있게 서술해야 한다. 정규분포의 가정을 벗어난 구간추정은 고등학교 교과과정에서는 제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실용수학의 내용이 수학 1의 내용과 상당히 중첩되어 있고, 문제는 실생활 예제가 취급되고 있으나, 보다 근본적으로 학습목표와 내용상의 검토가 필요하다고 본다. 교수-학습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다양한 통계실험 위주의 현장수업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하여 학교시설이 먼저 개선되어야 한다.
In Korea, mathematics education has been taken according to the 7th national mathematics curriculum renova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announcement in 1997. The education of practical statistics has been carried out as a part of this curriculum. We analyze and compare practical mathematics textbooks for 10 grade students. Descriptions of sample variance and sample standard deviation, distribution of sample mean, and etc. which are on 4 textbooks, are misleaded in school education. We recommand unbiased estimator of sample variance in accordance with textbooks and distribution of sample mean under normal population.
1. 서론
2. 제7차 교육과정인 실용수학의 생활통계 단원
3.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