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3027.jpg
KCI등재 학술저널

직무열의와 번영의 관계에 대한 직무성과의 매개효과와 일의 의미의 조절된 매개효과 연구

Mediating relation of Work Engagement, Task Performance, and Flourishing: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Work Meaningfulness

DOI : 10.37727/jkdas.2020.22.4.1539
  • 369

본 연구는 최근 많은 연구자들의 관심을 받고 있는 직무열의와 일의 의미가 어떻게 직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며 궁극적으로 직장인들의 번영감에 어떤 효과를 보이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여러 형태의 기업에 재직 중인 다양한 직급과 연령의 직장인 27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하여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서 SPSS 통계프로그램과 SPSS PROCESS Macro (v.3.3)를 활용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열의와 번영감 간의 관계에서 직무성과가 매개변인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둘째, 직무성과에 대해서 직무열의와 일의 의미가 상호작용을 통해서 영향을 미치는 조절효과가 검증되었다. 마지막으로, 직무열의에서 직무성과를 거쳐 번영감에 이르는 매개관계를 일의 의미가 조절하는 조절된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기존 연구들이 직무성과 변인을 종속변인으로 주로 사용한 것에 반해서, 본 연구에서는 직무열의와 번영을 연결하는 중간 과정 변인으로서의 직무성과의 역할을 확인하였다. 또한 조절변인으로서 일의 의미의 역할은 직무충실화와 같은 조직개발적인 개입을 통하여 종업원의 성과 향상과 행복감을 향상 시킬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은 결론에서 다루었다.

This study aimed to verify how work engagement and work meaningfulness, in which many researchers recently are interested, influence successively on job performance and flourishing. We gathered data surveying 276 office workers of various job positions in different types of company and conducted data analysis using SPSS statistical software and SPSS Process Macro(v. 3.3).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mediating role of job performance between work engagement and flourishing is verified. Second, we verified the moderating effect of work meaningfuln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 engagement and job performance. Third, the moderating effect on the mediating relationship among work engagement, job performance, and flourishing is verified. While previous studies mostly adopted job performance variable as a dependant variable, this study demonstrated its transitional role between work engagement and flourishing, and thus the successive influence of work engagement on job performance and on flourishing. The moderating role of work meaningfulness could expand the result of this study toward an organizational intervention enhancing job performance and well-being of employees. Problems and the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1. 서론

2. 선행연구 분석

3. 가설 및 연구모형

4. 연구방법

5. 분석결과

6. 결론

References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