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3030.jpg
KCI등재 학술저널

북한 황강댐 운영에 따른 임진강 수계 하천유지유량 검토

Evaluation of Instream Flow in the Imjingang River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Hwanggang Dam in North Korea

DOI : 10.14251/crisisonomy.2020.16.6.105
  • 30

본 연구는 북한 황강댐 운영으로 인한 임진강수계 기존댐 및 주요 수위관측소의 하천유지유량을 검토하고 하천유지유량 확보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임진강 수계의 일단위 관측자료롤 이용한 물수지분석 결과, 하천유량, 유역 유입량 및 댐 유출량이 타당하게 추정되었다. 둘째, 황강댐 운영 후 임진강 수계의 주요 수위 관측소의 흐름이 크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 황강댐 운영이 남한 임진강 수계의 유량유입에 영향을 미쳤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임진강 수계의 하천유지유량 충족여부 분석 결과 모든 수위 관측소에서 하천유지유량이 지속적으로 충족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황강댐 운영으로 인해 하천유지유량의 총부족량과 부족기간이 각각 + 14,156% 및 16,800시간으로 증가했으므로, 황강댐 운영이 하천유지유량 부족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분석되었다. 하처유지유량 확보를 위해 기존 댐 및 공유하천의 활용 계획을 제시하였다. 향후 중요성이 증가하는 하천유지유량을 확보하기 위해 다양한 장기적이고 계획된 방안들을 준비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evaluated the instream flow of the existing dams and major water-level stations in the Imjingang river basin by the operation of Hwanggang Dam in North Korea and proposed a solution for securing instream flows. First, stream flow, basin inflow, and dam releases were reasonably estimated by water balance analysis using daily averaged data in the Imjingang river basin. Second, streamflows at major water-level stations in the Imjingang river basin decreased significantly after the Hwaggang dam operation, which confirmed that the Hwanggang Dam in North Korea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streamflows of the Imjingang river basin in South Korea. Third, the instream flow analysis for the Imjingang river basin confirmed that instream flows were not consistently satisfied in all water-level stations. Finally, the Hwanggang Dam operation was one of the main reasons for the lack of instream flow, since the total amount and period of shortage increased up to 14,156% and 16,800%, respectively after the Hwanggan dam operation. We then suggested how to utilize the existing dams and shared river basins to secure instream flow. In the future, various long-term and well-planned strategies would be needed.

Ⅰ. 서 론

Ⅱ. 임진강 수계 댐운영 기본사항

Ⅲ. 북한 황강댐 운영에 따른 임진강 하천유지유량 검토

Ⅳ. 요약 및 결론

감사의 글

References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