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메이크업 색채에 의한 얼굴의 형태지각 연구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Face Type to Color of Make up
- 한국자료분석학회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
- Vol.7 No.1
- : KCI등재
- 2005.02
- 207 - 219 (13 pages)
본 연구는 얼굴형과 메이크업 색채가 조합되어 얼굴의 형태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에 대한 객관적인 분석을 통해 메이크업에서의 색채선택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미지 개선 효과를 줄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실험 얼굴형은 둥근형을 선정하였고 포토샵을 이용하여 화장 색(3), 아이샤도우색(7), 립스틱 색(6)으로 변형시켜 조합시킨 총 39개의 자극물을 제작하였다. 얼굴 형태 변화를 평가하기 위해서 8개 형용사 쌍의 의미미분척도를 구성하였고, 연구 자료는 Two-way Anova, Duncan s Multiple Range Test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얼굴색과 메이크업의 색채인 아이샤도우, 입술색은 상호작용 효과가 있으며, 동일한 얼굴형도 메이크업 색채에 따라 얼굴의 형태 지각이 변화되어 지각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tudy on the perception of face type to color of make-up was made by computer graphic simulation. The various facial images can be helpful for choosing suitable make-up color planning. The various facial image can be effected from shape differences and make-up style. In order to find out the differences of face images by make-up style, five each different eye-brows and two groups of eye-shadow, three lip style were applied on the round face model. To analyze the relation between facial color and eye- shadow and lip color by one round face type and which made of standard of three(facial, eye-shadow, lip) Make-up color were applied. Make-up Image Scale was used the scale of seven point modified the S-D method. Data were analyzed by Duncan s Multiple Range Test, Two-way ANOVA. As a result of form comparison of face type to make-up color variations, the facial color and eye-shadow, lip color were influenced interactively on the perception of face type.
I. 서론
II. 한국여성의 피부색에 대한 선행연구
III. 연구방법 및 절차
IV. 연구결과 및 고찰
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