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대 여성의 얼굴화장 인식 및 선호 형태 연구
A Study on Recognition of Face Make-Up and Preference Types in 20 s Female
- 송미영(Mi-Young Song) 박옥련(Ok-Lyun Park)
- 한국자료분석학회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
- Vol.7 No.4
- 등재여부 : KCI등재
- 2005.08
- 1337 - 1351 (15 pages)
본 연구는 20대 여성을 대상으로 아름다운 외모 인식과, 선호하는 메이크업의 형태와 색채, 메이크업의 불만족 원인을 조사함으로 현대의 이상적인 미인으로 메이크업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연구 대상은 부산, 울산지역 20대 미혼 여성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으며, 연구 자료는 Two-way Anova, Duncan s Multiple Range Test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연구대상자의 대다수는 화장의 중요성을 인식하였고, 메이크업의 기술부족이 주원인으로 메이크업에 만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미인 얼굴의 특징은 계란형의 잡티 없는 맑고 깨끗한 피부에 쌍꺼풀이 있는 크고 둥근 눈과 높고 가는 코에 도톰한 입술을 미인으로 보며, 약간 밝은 피부화장에 표준형 눈썹, 아이샤도우와 립스틱 색은 핑크를 가장 선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women s make-up state, knowledge degree, attitude and preference types by face shape. It is valuable to provide the useful guideline to make up for modern concept of beaut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00 adult women(aged 20 and 29) in Pusan and Ulsan area.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ies, Means, Duncan s Multiple Range Test. The major results were as followed. Their reasons for make-up indicated that to be beautiful was highest. Even though many women have understood the importance of make-up and have made up everyday, it appeared that their knowledge about make-up and make-up technique were insufficient, which mean needs for systematically organized make-up education. And Beautiful face has a egg shape, clean or white skin. they also prefer large, double eyelid round eye, high, narrow nose and big mouth.
I. 서론
II. 연구방법 및 절차
III. 연구결과 및 고찰
I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