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선거예측조사 의사결정유보층 분류 및 예측을 위한 의사결정나무모형의 비교와 평가
A Study on the Comparison and Evaluation of Decision Tree Models for Prediction of Non-respondents in Election Forecasting Survey
- 최종후(Jong-Hoo Choi) 강현철(Hyuncheol Kang) 한상태(Sang-Tae Han)
- 한국자료분석학회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
- Vol.8 No.1
- 등재여부 : KCI등재
- 2006.02
- 167 - 178 (12 pages)
선거예측조사에서 발생하는 어려운 점 중 하나는 후보자에 대해 자신의 지지여부를 밝히지 않는 의사결정유보층을 처리하는 것이다. 특히 전화조사방식에 의한 선거예측조사에서는 상당수의 의사결정유보층이 나타나게 되므로 이에 대한 분류 및 예측의 엄밀성은 조사의 성패를 결정짓는 중요한 문제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의사결정유보층의 분류 및 예측에 대한 제 방법의 비교와 평가에 그 목적을 두고 있으며, 의사결정나무기법의 C&RT, CHAID, Exhaustive CHAID, QUEST 알고리즘을 분석도구로 사용하였다. 이와 더불어 지지빈도의 추정에 관한 새로운 방법을 제안하였다.
One of the difficulties in election forecasting survey is about the methodology in dealing with non-respondents who do not reveal their choices about candidates. Especially in Korea, the significance of classifying non-respondents is greatly increasing around the election day. This study aims to compare and evaluate the prediction methods of election results with the classification of non-respondents. In this work, C&RT, CHAID, Exhaustive CHAID, QUEST are applied for analysis. In addition, we propose a new method for the estimation of support frequency.
1. 연구배경 및 연구목적
2. 분석용 자료
3. 분석 단계
4. 분석 결과
5.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