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낙동강 하류 수계의 오염총량관리를 위한 오염지표 작성에 관한 연구
Preparation of Water Pollution Indicator for Total Pollution Load Management System on the Lower Basin of Nakdong-gang River
- 이정형(Jeong Hyeong Lee)
- 한국자료분석학회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
- Vol.8 No.2
- 등재여부 : KCI등재
- 2006.04
- 781 - 789 (9 pages)
본 논문은 2006년 8월부터 본격적으로 시행되는 오염총량관리제에 대응하기 위하여 낙동강 하류 수계에서 기존의 오염지표인 생물학적 산소요구량(BOD), 화학적 산소요구량(COD), 총질소(TN), 총인(TP), 부유물질(SS), 수온(TEMP), 전도도(EC), pH, 용존산소(DO), 클로로필(Chl-a) 등과 총유기탄소량(TOC)의 관계를 회귀모형을 이용하여 규명하였다. 낙동강 하류의 대표적인 수계인 낙동강, 남강, 황강 밀양강 수계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 낙동강 하류 수계에서는 BOD, COD, SS, TP, DO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남강 수계에서는 COD, TP, pH, DO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황강 수계에서는 COD, SS, DO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밀양강 수계에서는 COD와 Chl-a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오염지표들 간의 관계를 통하여 기존의 오염지표를 총괄할 수 있는 지표이면서 오염총량관리에 적합한 새로운 오염지표로써 TOC를 제안하였다.
The primary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propose new pollution indicator of water quality by implementing Total Pollution Load Management System (TPLMS) in the lower basin of Nakdong-gang river. We consider regression model for proposition of new pollution indicator of water quality and analyzed pollution indicators are BOD(biochemical oxygen demand), COD (chemical oxygen demand), TN(total nitrogen), TP(total phosphorus), SS(suspended solids), TEMP(temperature), EC(equivalent conductivity), pH, DO(dissolved oxygen), Chl-a (chlorophyll-a), and TOC(total organic carbon). None of the preceding studies have estimated relationships of pollution resources in Korea. Therefore, we propose TOC with new pollution indicator of water quality. We showed, in result of analysis between TOC and other pollution indicators, that BOD, COD, SS, TP and DO are significantly in the lower basin of Nakdong-gang river, COD, TP, pH and DO are significantly in the of Nam-gang river, COD, SS, DO are significantly in the Hwang-gang river, and COD and Chl-a are significantly in the Miryang-gang river.
1. 서론
2. 자료
3. 자료 분석
4.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