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2974.jpg
KCI등재 학술저널

옵션 내재변동성의 변화에 따른 거래행태의 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rade Behavior as Related with Call Option Implied Volatility

  • 7

이 논문에서는 옵션의 내재변동성이 옵션거래 행태의 변화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NTM 콜옵션 내재변동성과 콜옵션 거래량 간의 그랜져 인과관계 검증, 충격반응 검증, GARCH, EGARCH, TARCH 등에 의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콜옵션 내재변동성과 콜옵션 거래량 간에는 상호 인과관계를 가지며 콜옵션 내재변동성과 콜옵션 거래량 변화의 충격은 상대 변수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GARCH, EGARCH, TARCH 모형에 의하면 콜옵션 내재변동성은 콜옵션 거래량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동성 전이효과를 가지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옵션내재변동성이 증가하면 옵션거래량이 유의적으로 감소하며 옵션거래량의 이분산성에도 유의적인 부(-)의 정보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주식시장에서 많은 연구들이 가격변화와 거래량이 양(+)의 상관관계를 보이는 결과를 얻은 것과는 사뭇 다른 결과이다. EGARCH, TARCH 모형에 의할 경우 충격의 레버리지 효과와 함께 충격의 비대칭성이 존재하는 것도 검증되었다.

This paper examines what effect the implied volatility of call option has on option trade behavior. Granger causality test and impulse-response test between implied volatility and trade volume of NTN call options, GARCH, EGARCH, TARCH time series analysis methods are used for analysis. The result shows that there exists reciprocal causality between implied volatility and trade volume of NTN call options, and that the impulse of one variable has negative response on the other variable. The analysis by GARCH, EGARCH, and TARCH model comes up with the result that the implied volatility of call option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volatility transfer effect on the trade volume of call option. Increase of mplied volatility brings forth significant decrease of trade volume and negative information effect on its heteroskedasticity. The analysis with EGARCH, TARCH models reveals the leverage effect and asymmetry of volatility shock.

I. 서론

II. 내재변동성의 정보효과에 관한 기존연구

III. 실증분석

IV.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