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MPI 모형을 이용한 국내 손해보험회사의 생산성에 관한 연구
An Analysis of The Korean Non-Life Insurance Industry s Productivity by Using MPI Model
- 김병철(Byoung Chul Kim) 정중영(Jung young Jeong)
- 한국자료분석학회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
- Vol.8 No.3
- 등재여부 : KCI등재
- 2006.06
- 1079 - 1089 (11 pages)
본 연구는 IMF 이후 1998-2004 사업 년도까지 7년간 국내 10개 손해보험회사를 대상으로 생산성을 비모수적 방법인 Malmquist 생산성지수 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고, 비생산성이 있을 경우 비효율성의 원인과 개선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생산성 분석결과 국내 손해보험회사들의 평균 총생산성 변화는 1.061로 생산성변화가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기술변화의 상승이 주요 원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각 손해보험회사별로 평균 총생산성 변화와 기술변화를 보면 모든 손해보험회사들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으나 규모효율성변화가 약간 하락한 것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규모효율성변화 증대를 위해 양질의 조직규모의 증대를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 하겠다. 특히 중 소형사의 규모의 비효율성을 개선을 위해 중 소형사간 동종, 이종 등 합병을 통한 규모의 증대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연구는 손해보험회사들의 비생산성에 대한 원인과 개선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해 보았으며, 향후 연구 과제로 보험산업의 전체적인 생산성 측정을 위해 국내 생명보험 산업과의 상호비교 및 선진 외국 보험시장과의 상호 비교를 통해 생산성 여부를 보다 더 세밀하게 분석해볼 필요가 있다고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productivity of the non-life insurance companies in korea using Malmquist Productivity Index (MPI) model. To measure the productivity, we used the time-series data for seven years from 1998 to 2004, targeting for the ten non-life insurance companies in korea. The empirical results show the following findings. Firstly, Malmquist total productivity was yearly improved by 1.06 because of technical efficiency improvement. Secondly, the result of analysis showed that the productivity of the non-life insurance industry for the analytical period increase. Thirdly, the average technical efficiency of the eleven companies is 0.974. Finally, the large-sized insurers have advantage of over the small-medium size insurers from productivity as well as their size. therefore, it is clear that outsourcing or alliancing with other insurers and other financial institutions may be a critical element for improving of non-life insurers productivity, especially, for small-medium size insurers.
I. 서론
II. 국내 손해보험회사의 전통적 생산성 비율지표
III. Malmquist 생산성지수
IV. 실증 연구
V.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