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3081.jpg
KCI등재 학술저널

뉴스의 상대적 중요성에 대한 검증

The Relative Importance of Cash-Flow and Discount-Rate News

  • 36

본 연구는 Campbell(1991)의 로그-선형 모형을 이용하여 미국 주식시장에서 예상하지 못한 시장 초과 수익률을 현금흐름 뉴스와 할인율 뉴스로 분해하고 횡단면 회귀분석으로 가격화 검증을 하여 주가 형성에 있어서 뉴스의 상대적 중요성을 검증하였다. 실증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벡터 자기회귀 모형의 내생변수를 적절하게 선정하여 뉴스를 분해한 결과, 현금흐름 뉴스와 할인율 뉴스 간 상관관계가 존재하지 않았다. 둘째, 미국의 시장 초과 수익률은 할인율 뉴스에 의하여 많이 연동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Campbell, Vuoteenaho(2004)처럼 단 한 번의 횡단면 회귀분석으로 뉴스의 가격화 검증 시 로그-선형 모형의 유용성을 확인할 수 없었다. 이는 장기간의 시장 변화를 전혀 고려하지 않은 방법론적 오류에서 발생하였을 수 있다. 마지막으로, Fama, MacBeth(1973)의 방법을 사용하여도 뉴스의 프리미엄 값이 비유의적이기에 현재 미국 주식시장에서는 Campbell, Vuoteenaho(2004)의 추론이 적용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배당수익률이 크게 감소된 미국 주식시장에서 주가 형성에 있어 뉴스의 상대적 중요성을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학술적 공헌이 있다.

This paper decomposes unexpected market excess returns into cash-flow and discount-rate news using Campbell (1991) method in U.S. stock market. Also, this paper estimates the relative importance of cash-flow and discount-rate news in U.S. stock market using cross-sectional asset pricing tests. The empirical results are as follow. First, this study successfully selects vector auto-regression state variables to decompose cash-flow and discount-rate news. Second, investors are more sensitive to discount-rate news than cash-flow news in U.S. stock market. It is consistent with the result of Campbell, Vuolteenaho (2004). Third, this study can not find the significant relation between decomposed news betas and returns employing Campbell, Vuolteenaho’s (2004) single cross-sectional regression method. Finally, it can not find a significant relation between cash-flow and discount-rate news betas and returns using Fama, MacBeth’s (1973) method.

1. 서론

2. 기존 연구와 미국의 배당수익률 및 시장 금리

3. 자료 및 방법론

4. 실증분석 결과

5. 결론

References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