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3081.jpg
KCI등재 학술저널

간호학과 신입생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이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에서 대학 적응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 of College Adjust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Learning Flow among First Year Nursing Students

  • 44

본 연구는 간호학과 신입생을 대상으로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이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에서 대학 적응이 두 변수의 인과경로 사이에 놓여 어떤 영향을 주는지 그 매개효과를 규명하는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호남과 충청권에 소재한 5개 간호학과 신입생 237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를 이용하여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학습몰입, 대학 적응에 대해 자료 수집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의 상관분석, 3단계 매개회귀분석, Sobel test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학습몰입은 자기주도적 학습능력(r=.583), 대학 적응(r=.487)과 유의미한 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자기주도적 학습능력과 대학 적응(r=.419)도 유의미한 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또한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이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에서 대학 적응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규명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간호대학에서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체계적 교과과정을 구축하고, 대학 적응 정도를 증진시킬 수 있는 비교과활동들을 개발한다면 궁극적으로 간호학과 신입생의 학습몰입에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college adjust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learning flow among first year nursing students. This study used a descriptive design, and data were collected from convenient sample of 237 students at 5 nursing college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elf-evaluation questionnaires survey done from June 3 to 14, 2013. The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Scheffe test, Pearson s correlation, three-step mediated regression and Sobel test. There was a significantly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adjustment,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learning flow. College adjustment showed partial mediating effects between the first year nursing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learning flow. For the effective improvement of student’s learning flow, educational program including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college adjustment increasing strategies should be established.

1. 서론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4. 논의

5.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