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충북지역 수출산업과 노동시장의 장단기적 관계 분석
Long and Short Run Analysis for Export Manufacture and Labor of Chungbuk
- 윤종철(Jong Cheol Yoon) 제상영(Sang Young Jei)
- 한국자료분석학회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
- Vol.18 No.4
- 등재여부 : KCI등재
- 2016.08
- 1925 - 1936 (12 pages)
고용 및 실업의 문제는 개인의 주된 생계수단인 근로소득에 직접 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 지속적인 경제성장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으므로 실업률의 관리를 통한 노동시장의 안정은 경제정책의 주요 목표 중 하나였다. 그러나 최근 급증하는 실망실업자, 구직단념자, 청년실업자로 인해 실업률만으로는 노동시장을 파악할 수 없다는 비판이 지속되어 왔다. 이에 따라 정부는 2017년까지 고용률 70% 달성을 정책 목표로 여성·청년 등 비경제활동인구의 고용제고와 일자리 창출 등을 세부과제로 선정하여 고용률 제고를 위한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 이러한 정부 정책에 호응하여 각 지자체에서는 자체적인 고용정책을 수립하여 집행하고 있다. 그러나 국가단위의 정책은 지역간 이질적인 노동시장과 불완전한 노동이동을 고려하기 어렵기 때문에 정책의 성공적인 집행을 위해서는 지역고유의 노동시장의 특성을 분석할 필요가 있다. 충북지역의 경우 관측기간 동안 제조업의 비중이 다른 지역보다 10%p 정도 높으며, 제조업 중에서도 수출 주력산업인 전자부품, 컴퓨터, 화학, 의약품과 같은 산업의 비중 역시 다른 지역보다 10%p 높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지역적 특징을 기초로 비관측 요소 모형과 경험적 모드 분해법을 이용하여 단기적 경기변동과 장기적 구조변화를 추출한 뒤 이를 분석하여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Problems of employment and unemployment are closely related with sustained economic growth not only directly affect the earned income of individuals. So, stable management in the labor market with the unemployment rate was one of the main objectives of economic policy. However, due to the recent surge in disappointing unemployment, youth unemployment has continued to criticize the labor market alone can not determine the unemployment rate. As a result, the government is racing to try to achieve the 70% employment rate. Selected as a policy objective, such as youth and women employment and job creation, improvement of the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by 2017, including detailed tasks. In response to this government policy, each municipality may establish and enforce their employment policy. However, the national policy, it is hard to consider the incomplete inter-regional labor mobility and heterogeneous labor market. For successful execution of the policy, it is necessary to analyze specific characteristics of the labor market areas. In the case of Chungbuk Province during the observation period, the share of manufacturing approximately 10% p higher than in other regions. The main export industry of electronic components, computer, chemical, and pharmaceutical industries, the proportion of 10% p among manufacturers also higher than in other regions. In this paper, after the extraction of the long-term structural change and short-term economic fluctuations using unobserved component model and the empirical mode decomposition based on these local features to analyze it and to provide policy implications.
1. 서론
2. 충북지역 노동시장과 산업구조 개관
3. 자료 및 방법론
4. 분석결과
5. 결론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