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3080.jpg
KCI등재 학술저널

의무기록 전공 대학생의 의료정보보호 교육요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ducational Needs for Medical Information Protection in Medical Records Majors

  • 13

본 연구는 졸업 후 의료기관에서 의료정보관리자로서 의료정보를 취급하게 될 의무기록 전공 대학생의 의료정보보호에 대한 교육 경험과 요구도를 파악하여 의료정보보호 교육정책 수립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행되었다. 자료조사는 B시 소재 6개 대학의 의무기록 전공 대학생 619명을 대상으로 2016년 3월 21일부터 3월 31일까지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ver 23.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교차분석, Fisher 정확검정, t-검정과 ANOVA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의료정보보호 ‘교육경험 있음’이 250명(40.4%)이었으며, 이들 중 ‘정규 교과목’을 통한 교육이 219명(87.6%)으로 나타났다. ‘교육경험 있음’이 ‘교육경험 없음’에 비해 의료기관의 의료정보보호 활동에 대한 인식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의료정보보호 교육수요에서 선호하는 교육형태는 ‘정규교과목’ 262명(42.3%), 교육방법은 ‘집체교육’ 353명(57.0%)으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의무기록 전공 대학생의 의료정보보호에 대한 교육요구를 반영하여 의료정보보호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의료정보를 올바르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의료정보보호 교육정책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ducational experience and needs for medical information protection in medical records majors, who are going to deal with medical information in hospitals, that in an effort to provide some information on educational policy setting about medical information protection.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619 selected students who were majoring in medical records. As a result, the students with the educational experience were better aware of medical information protection activities than the other students without it. As for educational needs of medical information protection, their favorite form of education was investigated, and 262 students preferred to receive the education as one of regular curriculum. Concerning favorite educational methods, the largest group that 353 students had a preference for cluster education. Given the educational needs of the medical records majors, efficient educational policies about medical information protection should be formulated to raise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medical information protection and to ensure proper medical information.

1. 서론

2. 연구 방법

3. 연구결과

4. 논의

5.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