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3076.jpg
KCI등재 학술저널

간호대학생의 대인관계, 우울이 스마트폰 사용수준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Interpersonal Relations and Depression on Smartphone Usage Level of Nursing Students PDF icon

  • 28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대인관계, 우울, 스마트폰 사용수준을 파악하고 간호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예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경상북도 A시, M시 소재 간호학과에 재학 중인 학생으로, 연구 참여에 동의한 학생을 대상으로 총 277명을 편의표집하였으며 자료 수집은 2014년 10월 1일부터 10월 24일까지 시행되었다. 본 연구는 서술적 조사 연구로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대인관계, 우울, 스마트폰 사용수준은 기술통계, 일반적 특성에 따른 스마트폰 사용수준의 차이는 t-test, 일원배치 분산분석(ANOVA), 사후검정(Scheffe s test), 상관관계는 피어슨 상관계수(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로 분석하였고, 대상자의 스마트폰 사용수준에 영향 미치는 요인은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 대인관계는 우울(r=-.193, p<.001), 스마트폰 사용수준(r=-.200, p<.001)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고, 우울과 스마트폰 사용수준(r=.142, p=.018)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호 대학생의 스마트폰 사용수준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사용시간(β=.433, p<.001), 대인관계(β=.133, p=.018) 순으로, 25.2%의 설명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간호대학생의 스마트폰 사용수준과 우울, 대인관계는 서로 상관관계가 있으므로 스마트폰 사용을 관리하는 방안을 마련하여 다양한 차원에서 스마트폰 중독에 이르는 것을 예방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interpersonal relations and depression on smartphone usage level in nursing students. From October 1, 2014 to October 24, 2014, data was collected through convenience sampling of 277 nursing students who were collected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The measurements included smartphone addiction scale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2011), the interpersonal relations scale (Chun, 1995), and the depression scale (Cho, Kim, 1993).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ies, t-tests,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via SPSS win 21.0 program. In conclusion, interpersonal relations (r=-.200, p<.001) and depression (r=.142, p=.018) were significantly correlation with smart usage level. Interpersonal relations and smartphone use level variables explained about 25.2% of the total variance of smart usage level. Therefore more positive and desirable ways of smart phone use, and plans for improvement of self-control should be studied.

1. 서론

2. 연구 방법

3. 연구 결과

4. 논의

5. 결론 및 제언

References